‘국가계획 수정’+ ‘민자고속도로 건설’ 추진
김태흠 지사, 국내 굴지 건설사와 관련 협의 진행

충남도가 지역 숙원사업인 ‘보령-대전-보은고속도로’ 조기건설을 위해 ‘투트랙 전략’을 가동하기 시작했다. 자료사진.
충남도가 지역 숙원사업인 ‘보령-대전-보은고속도로’ 조기건설을 위해 ‘투트랙 전략’을 가동하기 시작했다. 자료사진.

[황재돈 기자] 충남도가 지역 숙원사업인 ‘보령-대전-보은고속도로’ 조기건설을 위해 ‘투트랙 전략’을 가동한다. <디트뉴스> 취재 결과 도는 국토교통부에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 수정을 요청하는 한편, 민자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대형건설사와 관련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기사 8월 31일자: 보령-대전고속道 조기 건설, 국가계획 수정 카드 만지작 등>

앞서 도는 지난 21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국토부와 현안회의를 열어 ‘대통령 지역공약 추진을 위한 국가계획 신속 수정’을 건의했다. 이미 수립한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021~2025)’과 ‘제5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2021~2025)’,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에 윤석열 대통령 지역공약을 반영시키자는 것이다.

도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충남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에 담긴 ‘중부권 내륙지역 광역입체 교통망 확충’ 계획에 따라 도는 ▲보령-대전-보은고속도로 ▲제2서해대교 건설 ▲충청내륙철도 ▲중부권동서횡단철도 ▲GTX-C천안·아산 연장 등 세부과제 10건(도로4건, 철도6건)을 발굴했다.

도는 대통령 임기 내 해당 사업을 추진키 위해 기존 국가계획의 신속한 수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차기 국가계획(2026~2030년) 반영 시 사전타당성조사 1년, 예비타당성조사 1년 등 행정절차에 따라 대통령 임기(27년 5월) 내 사업 착수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

결과적으로 ‘제3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026~2030)’에 ‘보령-대전고속도로’ 계획을 담기까지 3~4년을 기다리지 않고,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의 수정을 요청해 착공 시기를 앞당기겠다는 계산이다.

윤여권 도 도로철도항공과장은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정부는 필요에 따라 기존 계획을 수정하는 권한을 갖고 있다”며 “이런 이유에서 대통령 지역공약 조기 이행을 위해 국토부에 국가계획 수정을 건의했고,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제2차 국가도로망계획에 담긴 '보령~대전~보은 고속도로' 위치도. 자료사진.
제2차 국가도로망계획에 담긴 '보령~대전~보은 고속도로' 위치도. 자료사진.

직선 65km, 30분 내 주파 가능..한국판 아우토반
“대형건설사, 보령-대전 직선화 고속도로 용역 진행”


도는 ‘보령-대전 직선화 민자고속도로’ 추진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고속도로 건설계획이 국가계획에 반영돼 공영개발 또는 정부주도 사업으로 추진될 경우 사업 속도가 더딜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중부권에 바다를 선물하자’ 슬로건을 내건 이 프로젝트는 보령에서 대전까지 직선거리 약 65km를 30분 내 주파할 수 있도록 하는 소위 ‘한국판 아우토반(Autobahn)’을 롤 모델로 두고 있다.

이 계획은 윤 대통령 대전 공약인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과 연계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거리 단축으로 인한 건설비용  감소가 예상된다.

도는 직선화 고속도로로 시간과 거리를 단축시켜 운행비용 절감, 교통사고 절감, 환경비용 절감 등 편익을 발생을 기대하고 있다. 또 고속도로 건설로 관광수요 유입을 통한 중부권 500만 명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경제 활동의 촉진제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실제 도는 민자고속도로 추진을 위해 대형건설사와 접촉한 것으로 확인됐다.

도 핵심 관계자는 “김태흠 지사는 취임 후 대형건설사 임원진과 만나 ‘보령-대전 직선화 고속도로’ 건설을 논의했다”며 “후속 조치로 건설사 도로책임자가 도청을 방문해 실무 협의도 진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건설사에서 용역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결과가 나오면 지사께 보고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민자고속도로 건설 역시 사업타당성이 담보 돼야하는 만큼 대형건설사의 경제성 평가 결과에 충청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