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TV '박정호의 핫스팟' 인터뷰
보문산 개발·AI 정책 등 '시정 비판'
"미래 전망 없고, 살림살이도 불안"
허태정 전 대전시장이 21일 오마이TV <박정호의 핫스팟>에 출연해 국회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충돌 사건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이장우 현 대전시장을 비판했다.
허 전 시장은 이날 인터뷰에서 진행자가 최근 선고된 국회 패스트트랙 충돌 사건 1심 선고 결과에 대한 견해를 묻자 “국민 눈높이에서 보면 매우 실망스러운 봐주기 판결”이라며 “일반 시민이 공공기관을 빠루로 부수고, 감금했다면 그 자리에서 구속됐을 것이다. 법의 형평성 차원에서 납득하기 어려운 판결”이라고 밝혔다.
앞서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11부는 지난 20일 이장우 시장에게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벌금 600만 원, 국회법위반 혐의 벌금 150만 원 등 총 750만 원의 벌금형을 선고했다.
허 전 시장은 “이 시장 본인은 민주주의 투쟁이라고 항변, 변명하고 있다. 뻔뻔하기 이를 데 없는, 한마디로 이장우스럽다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민, 시민 앞에 정중히 사과하고 겸허한 태도로 임하겠다는 모습이 아닌 사건을 왜곡하는 태도는 보기가 민망할 정도”라고 지적했다.
민선 8기 미래 실종, 불안한 살림살이 지적
허 전 시장은 이날 보문산 개발, AI 관련 정책, 대전판 리박스쿨로 불리는 넥스트클럽 위수탁 문제 등 민선 8기 시정 기조에 대한 비판적 견해도 밝혔다.
그는 진행자가 최근 시민단체가 보문산 프로젝트와 관련해 공익 감사를 청구한 사건에 대해 묻자 “케이블카, 관광단지화하는 사업비가 4400억 정도 들어가는 걸로 나오는데, 민간 사업자가 없어 유찰된 사업”이라며 “전국에 케이블카가 40여 곳이 있는데, 한때 사람들이 줄섰던 케이블카도 적자로 돌아섰다. 환경 훼손도 불가피할뿐더러 사업성도 없는 사업”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허 전 시장은 “불과 4년 전 민선 7기 때 부채비율이 12% 정도였는데 19%까지 올라갔다”며 “재정 운영이 쉽지 않아 사업 예산을 일괄 축소하라는 지시까지 하면서 이런 사업을 추진한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했다.
또 시의 AI 관련 사업 추진 의지와 관련해서도 “이재명 정부 들어 가장 많은 투자가 진행되는 분야가 바로 AI”라며 “내년도 시 사업계획서를 보니 관련 예산이 거의 없다. AI 산업 생태계 기반이 가장 잘 갖춰진 도시인데, 보여주기식 토목 공사 위주 행정을 하다보면 대전의 미래도 암울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올해 국정감사에서 여러 차례 언급된 넥스트클럽 위수탁 문제와 관련해선 “대표자인 목사는 동성애 반대, 차별금지법 반대 운동을 주도했던 분이고 2022년 지방선거때도 후보들을 상대로 사상 검증을 하려 해서 거절한 기억이 있다"며 "공모로 재개약을 해야 하는 상황인데 지역사회에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매우 높다”고 밝혔다.
끝으로 허 전 시장은 “현 시정은 미래 산업에 대한 전망도 없고, 살림살이도 시민이 보기에 매우 불안하다. 기본적으로 인권에 대한 기본적 태도도 안 돼 있다”며 “산업 육성 비전, 전시성 행사는 지속하면서 NGO센터와 인권 관련 기관은 폐지했다. 이런 시장은 이제 그만 있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허 전 시장은 내년 지방선거 출마와 관련해 “2018년 시장이 될 때 슬로건이 시민주권시대였다. 이재명 정부는 이제 국민주권시대를 열었고, 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당원주권시대를 열었다”며 “내년 대전은 시민주권시대를 열면 되겠다는 생각으로 임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