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톡톡: 백 열번째 이야기] 고속도로 직선화, 500만 충청인이 나설 때

본보 주최 대전-보령 고속도로 대선 공약화 토론회 인트로 영상 갈무리.
본보 주최 대전-보령 고속도로 대선 공약화 토론회 인트로 영상 갈무리.

‘65km 30분’. 대전-보령 고속도로 직선화 사업은 500만 충청인에 바다를 선물하자는 고민에서 출발한다. 없는 게 천지인 충청도에 바다라도 가까이 두고 볼 ‘길’을 내보려는 일이다. 충청권 지자체는 2019년 12월 ‘제5차 국토종합계획’과 지난해 9월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에 담는 성과를 이뤘다.

아직은 ‘미완의 단계’다. 당초 목표는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021~2025)’ 반영이었기 때문이다. 목표에 이르진 못했지만, 그보다 상위 계획인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에 포함되며 기대감을 높였다.

한쪽에선 “그 먼길을 30분에 간다는 게 현실적으로 가능하냐”고 회의론을 제기한다. 그리고 돌아서선 “그렇게 되면야 좋지”라고 은근히 기대한다. 기대한다는 건, 이룰만한 가치와 희망, 의지가 내재해 있다는 것이다. 전국 ‘1일 생활권’을 처음 구상했을 때 가졌던 막연한 기대가 오늘날 현실이 된 것처럼.

‘꿈만 같은 이야기’라고 여겼던 일들이 눈 앞에 펼쳐지고 있지 않은가. 철도와 도로, 항공, 항만 등 교통망 발달과 기술력 신장이 가져온 결과다. 무인 자율주행 드론을 이용한 ‘플라잉 카’ 상용화도 머지않았다.

바다가 없는 대전과 세종시민들이 30분 만에 대천 앞바다에 도착해 캠핑(차박)하며 힐링하는 장면을 떠올려 보라. 단순히 떠올리고 말 게 아니다. 그 시간을 앞당기려면 실행에 옮겨야 하지 않겠나.

이 사업은 현재 대전시와 충남도의 대선 공약 과제로 포함돼 있다. 관건은 여야 대선 후보들이 지역공약으로 삼을 것이냐에 달렸다. 미래권력에 의지를 묻고, 확약을 받아내야 한다는 소리다. 여기는 육사 이전이나 사드 배치같은 정치적 이해관계도 없다. 민감한 정치 쟁점을 놓고 허송세월하느니 풀기 쉬운 문제부터 풀어갈 필요가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수도권과 충청·강원을 묶는 중부권, 영호남과 제주를 묶는 남부권을 각각 초광역 단일경제권(메가리전, Mega-region)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새로운 유형의 일자리 창출로 지역 인재가 지역에서 맘껏 일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겠다고 공언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도 메가시티를 천명했다. 지방소멸 해결과 국가 균형발전을 바탕에 둔 공약이다. 대전-보령 고속도로 직선화 사업에 이 모든 것이 집약돼 있다.

선거철이 다가오면서 충청도에는 없는 게 왜 그리 많냐는 허탈과 푸념이 쏟아지고 있다. 문제는 지역의 정치나 행정, 언론, 시민사회마저 홀대론을 ‘주장만’ 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는 애 젖 물리고, 떡 하나로 달래는 시대는 지났음에도. 사회 지도층이 집단적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이명수 국민의힘 의원(충남 아산갑)은 지난 9일 본보가 주최한 ‘대전~보령 고속도로 대선 공약화 정책토론회’에 참석해 정곡을 찔렀다. “2026년 3차 고속도로망 계획을 기다릴 필요 없다. 여기 반영해야만 도로를 놓을 수 있는 건 아니다. 대전·세종·충남·충북이 예타 계획을 세워 정부에 먼저 제시할 필요가 있다. 모두가 힘을 합치면 충분히 가능하다.”

대전-보령 고속도로 건설은 허태정 대전시장, 양승조 충남지사, 이춘희 세종시장, 김동일 보령시장만의 꿈이 아니다. 충청인 모두의 꿈이다. 그리고 500만 충청인이 나선다면, 대전에서 보령까지 ‘30분 바닷길’은 꿈이 아니다. 대선과 지방선거가 목전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