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다음 달 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 확정 고시 예정
정부가 다음 달 보령-대전-보은고속도로 건설계획 공개를 앞두고 있다. 충남은 4차 국가철도망 건설계획에 충청문화산업철도(보령선)를 신규 사업으로 올리지 못한 터라, 해당 고속도로의 국가계획 반영을 기대하는 분위기이다.
특히 보령-대전-보은고속도로는 충청권 낙후지역 지역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국토의 허리를 잇는 중부권 광역 경제·문화·관광벨트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으로 꼽히고 있다.
9일 충남도 등에 따르면 정부는 6월 중 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021~2025)을 확정 고시할 예정이다.
보령-대전-보은고속도로는 충남 보령과 공주, 논산, 계룡, 대전, 옥천, 보은을 잇는 길이 122km(4차로)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약 3조1530억 원이 소요된다.
B/C 1.32, 3조5800억 편익 발생
보령-대전-보은고속도로 사업은 사전 경제성 분석결과 경제적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대전시가 발주한 해당 고속도로 건설 타당성 평가 용역 최종보고회에선 사업 타당성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인 B/C(비용대비편익)가 1.32로 나왔다. 이 수치가 1이상이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용역 결과에 따르면 대전에서 보령까지 30분 이상 시간이 단축되고, 운행비용이 절감되면서 향후 30년간 3조5800억 원의 편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속도로 통과지역 광역단체와 시·군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고속도로 건설 당위성을 중앙정부에 피력했다.
대전·세종·충남·충북 4개 시·도는 지난해 1월 충청권 행정협의회에서 해당 사업을 추진키 위해 공동건의문을 채택해 국토부에 전달했다.
충남도의회도 지난해 9월 해당 고속도로 건설 촉구 결의문을 채택해 중앙정부 등에 전달했으며, 통과지역 10개 광역·기초 지자체도 발을 맞추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해당 사업은 2019년 12월 5차 국토종합계획(2020~2040)에 반영됐으며, 충청권은 국토부 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이 사업이 반영될 수 있도록 지역 정치권과 함께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고속도로 건설을 통해 지역 관광산업 등이 발전하고, 내륙지역 국민에게는 바다를 선물할 수 있어 국토균형발전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정부는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꼭 필요한 사업으로 인식, 사업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충남도는 ‘태안-세종고속도로’ 건설사업을 정부 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건의 중이다. 태안군은 도내서 유일하게 고속도로가 없는 지역으로 이 고속도로가 건설되면 내포신도시와 서산민항(예정), 서해안 관광지 등 주요 거점을 연결할 수 있다.
관련기사
- 보령∼대전고속도로 타당성 확보, 사업 청신호
- “보령-대전고속道, 500만 중부권에 선물”
- 김동일, 진선미에 “보령-대전고속道, 꼭 필요”
- 김동일 "보령-대전고속도로, 꼭 이룰 사업"
- 김동일, 국토부에 "보령-대전 고속도로 꼭 필요"
- 김태흠 “대전·보령 고속도, 중부권 신경제벨트”
- 박영순 “보령-대전고속도, 균형발전에 도움”
- [창간특집] '대전~보령 고속도로' 건설, 해법은?
- “보령-대전고속도로, 동서 관광벨트 연결”
- [사설] 예타면제도 필요없는 고속도로
- 김동일 “보령-대전고속도, 국토균형발전 촉매”
- 김동일 “보령-대전고속도, 동서 실크로드”
- 국토부에 ‘보령~대전 고속도로‘ 공동건의
- 충청권 숙원, 보령~대전~보은 고속道 ‘국가계획 반영’
- 충남도, 보령-대전고속道 건설 ‘투트랙 전략’ 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