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 충남지사, 국토부에 다각적 방안 요청
대전 제2외곽순환도로 건설계획과 연계 추진
‘국가계획 수정+민자 추진’ 투트랙 전략에 면제 가능성도

충남도가 지역 숙원사업인 ‘보령-대전-보은고속도로’ 조기건설을 위해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카드를 꺼내들었다. 황재돈 기자.

[황재돈 기자] 충남도가 숙원사업인 ‘보령-대전-보은고속도로’ 조기건설을 위해 예비타당성 조사(예타) 면제 카드를 꺼내들었다. 기존 ‘국가계획 수정’과 ‘민자고속도로 추진’ 투트랙 전략에 더해 예타 면제까지 모든 가능성을 검토하는 모양새다. <관련기사 본보 2022년 11월 23일자: 충남도, 보령-대전고속道 ‘투트랙 전략’ 가동 등>

앞서 김태흠 충남지사는 지난 5일 충북도청에서 열린 ‘국토교통부-충청권 지역발전 협력회의’에서 지역 SOC사업의 예타 면제를 요청했다.

김 지사는 원희룡 국토부 장관에게 “550만 충청권 시민에게 바다를 안겨주는 충청권 순환 서해고속도로(보령-대전-보은고속도로) 사업과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충청산업문화철도 건설 등 충남 제안사업에 속도감 있는 지원을 부탁한다”며 “국가계획의 신속한 수정과 예타 면제를 검토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또 “경제성이 있기 때문에 민자고속도로 추진을 하는 것으로 이를 폭넓게 허용할 필요가 있다”며 “충남은 ‘보령-대전’, ‘내포-천안’ 고속도로 민자사업을 검토 중이다. 균형발전 측면에서 지방도 민자가 활성화되도록 적극 지원해 달라”고 건의했다.

김 지사가 언급한 ‘충청권 순환 서해고속도로’는 기존 ‘보령-대전-보은고속도로’ 노선을 ‘대전 제2외곽순환도로’와 연계하는 것으로, 대전시와 함께 충청권 광역교통망을 구축하겠다는 계산이 깔려있다.

‘국가계획 수정·민자 추진’ 투트랙 전략 + 예타 면제


김태흠 충남지사(왼쪽)와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지난해 11월 21일 도청 외부인사접견실에서 환담을 갖고 있다. 황재돈 기자. 

도는 지난해 11월 21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국토부와 현안회의를 열어 ‘대통령 지역공약 추진을 위한 국가계획 신속 수정’을 건의한 바 있다.

이미 수립한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021~2025)’과 ‘제5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2021~2025)’,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에 윤석열 대통령 지역공약을 반영시키자는 것이다.

도는 윤 대통령의 ‘충남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에 담긴 ‘중부권 내륙지역 광역입체 교통망 확충’ 계획에 따라 ▲보령-대전-보은고속도로 ▲제2서해대교 건설 ▲충청내륙철도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GTX-C천안▲아산 연장 등 세부과제 10건을 발굴한 상황.

이 사업들이 대통령 임기 내 추진하려면 국가계획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게 도 입장이다.

제2차 국가도로망계획에 포함된 보령~대전~보은 고속도로 위치도. 자료사진.
제2차 국가도로망계획에 포함된 보령~대전~보은 고속도로 위치도. 자료사진.

이와 함께 도는 ‘보령-대전 직선화 민자고속도로’ 건설 계획도 추진 중이다. 국가계획에 반영돼 공영개발 또는 정부주도 사업으로 진행될 경우 사업 속도가 더뎌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김 지사는 민자 추진을 위해 대형건설사와 접촉을 시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도 핵심 관계자는 “대형건설사 임원진과 만나 해당 고속도로 건설을 논의했고, 건설사 내부적으로 용역을 추진한 뒤 결과가 나오면 지사께 보고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중부권에 바다를 선물하자’ 슬로건을 내건 이 프로젝트는 보령에서 대전까지 직선거리 약 65km를 30분 내 주파할 수 있도록 하는 소위 ‘한국판 아우토반(Autobahn)’을 롤 모델로 두고 있다.

결과적으로 국가계획 수정과 민자 추진, 예타 면제까지 숙원사업 해결을 위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 셈.

김 지사는 최근 <디트뉴스>와 만난 자리에서 “과거 사례를 보면, 정부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예타 면제 사업을 선정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에 발맞춰 도는 예타 면제 없이 추진하기 어려운 사업을 검토해 국토부 등에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