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실국원장회의서 철저한 성과 분석 지시
오는 20일 강평회서 '민간주도·격년제' 논의되나

김태흠 지사가 11일 열린 실국원장회의에서 문화체육관광국으로부터 업무보고를 받은 뒤 '백제문화제'의 정확한 진단과 철저한 성과분석을 주문했다. 김다소미 기자. 
김태흠 지사가 11일 열린 실국원장회의에서 문화체육관광국으로부터 업무보고를 받은 뒤 '백제문화제'의 정확한 진단과 철저한 성과분석을 주문했다. 김다소미 기자. 

[내포=디트뉴스 김다소미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난 9일 폐막한 ‘2023 대백제전(백제문화제)’의 철저한 성과분석을 지시하고 축제 발전을 위한 변화를 예고했다.

오는 20일 ‘대백제전 성과분석 강평회’에선 공주와 부여 동시 개최에 따른 프로그램 중복, 예산·인력 비효율성, 소모적 경쟁 유발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박정현 부여군수는 9일 부여 백제문화단지에서 열린 폐막식에서 백제문화제의 새로운 미래를 위해 행사주체를 기존 ‘관’ 주도에서 ‘민간’으로 전환하고, 두 지역의 ‘격년제’ 개최 방식을 공식 제안했다.

김 지사는 11일 본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실국원장회의에서 “대백제전에 총 330만 여명이 방문한 것으로 잠정집계 됐다. 고마운 일이지만, 우리 스스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번 행사의 철저한 성과분석을 통해 백제문화제가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도록 계승·보완할 부분과 정리가 필요한 부분을 찾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또 “공주, 부여가 총 65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내용을 분석해 보완, 발전, 폐지 방안을 마련하고, 기존 백제문화제와 차별화된 대표 킬러콘텐츠 개발을 구상할 것”을 주문했다.

‘역대급 성공’이라는 단순 성과에 그치지 않고, 지속가능한 축제의 미래를 위해 ‘내실화’를 기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김 지사는 “충남도, 공주시, 부여군, 백제문화제재단이 모이는 강평회에서 제대로된 분석 결과를 도출해 백제문화제의 발전을 위해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올해 백제문화제는 13년 만에 규모를 키워 ‘대백제전’ 방식으로 치러졌다. 공식 개막 당일 역대 대통령 중 4번째로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방문해 축제 성공을 기원하기도 했다.

하지만 실제 행사장 곳곳에선 다양한 과제가 노출됐다. 공주시와 부여군이 축제 성패를 ‘방문객 수’로 판단하면서 과도한 경쟁을 불러왔기 때문. 게다가 대통령 방문에 따른 보안·경호 등으로 일반 관람객의 행사장 출입이 제한되는 불상사도 겪었다.

국내 최대 ‘역사재현축제’로 평가받고 있지만, 정작 ‘백제문화’의 정체성을 제대로 구현해내지 못했다는 비평도 뒤따랐다. 다음주 열리는 강평회에서 4개 주최 기관이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