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실국원장회의서 철저한 성과 분석 지시
오는 20일 강평회서 '민간주도·격년제' 논의되나
[내포=디트뉴스 김다소미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난 9일 폐막한 ‘2023 대백제전(백제문화제)’의 철저한 성과분석을 지시하고 축제 발전을 위한 변화를 예고했다.
오는 20일 ‘대백제전 성과분석 강평회’에선 공주와 부여 동시 개최에 따른 프로그램 중복, 예산·인력 비효율성, 소모적 경쟁 유발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박정현 부여군수는 9일 부여 백제문화단지에서 열린 폐막식에서 백제문화제의 새로운 미래를 위해 행사주체를 기존 ‘관’ 주도에서 ‘민간’으로 전환하고, 두 지역의 ‘격년제’ 개최 방식을 공식 제안했다.
김 지사는 11일 본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실국원장회의에서 “대백제전에 총 330만 여명이 방문한 것으로 잠정집계 됐다. 고마운 일이지만, 우리 스스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번 행사의 철저한 성과분석을 통해 백제문화제가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도록 계승·보완할 부분과 정리가 필요한 부분을 찾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또 “공주, 부여가 총 65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내용을 분석해 보완, 발전, 폐지 방안을 마련하고, 기존 백제문화제와 차별화된 대표 킬러콘텐츠 개발을 구상할 것”을 주문했다.
‘역대급 성공’이라는 단순 성과에 그치지 않고, 지속가능한 축제의 미래를 위해 ‘내실화’를 기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김 지사는 “충남도, 공주시, 부여군, 백제문화제재단이 모이는 강평회에서 제대로된 분석 결과를 도출해 백제문화제의 발전을 위해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올해 백제문화제는 13년 만에 규모를 키워 ‘대백제전’ 방식으로 치러졌다. 공식 개막 당일 역대 대통령 중 4번째로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방문해 축제 성공을 기원하기도 했다.
하지만 실제 행사장 곳곳에선 다양한 과제가 노출됐다. 공주시와 부여군이 축제 성패를 ‘방문객 수’로 판단하면서 과도한 경쟁을 불러왔기 때문. 게다가 대통령 방문에 따른 보안·경호 등으로 일반 관람객의 행사장 출입이 제한되는 불상사도 겪었다.
국내 최대 ‘역사재현축제’로 평가받고 있지만, 정작 ‘백제문화’의 정체성을 제대로 구현해내지 못했다는 비평도 뒤따랐다. 다음주 열리는 강평회에서 4개 주최 기관이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 백제 역사의 현대적 부활 ‘백제문화제’에 가면
- '백제문화제' 미래의 길 ...'민간 주도·격년제' 다시 논의되나
- ‘2023 대백제전’ 오늘 폐막...“백제의 꿈과 힘쎈 충남 새 역사”
- [2023 대백제전] 공주시 ‘자원봉사자’, 대백제전 빛내는 숨은 주역
- [2023 대백제전] 백제문화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이유
- [2023 대백제전] 6일 남은 대백제전, 공주시에서 알차게 즐기는 꿀팁
- [2023 대백제전] 박정희부터 윤석열까지..대통령도 반한 ‘백제문화제’
- [2023 대백제전] 백제대제, 격동과 변화 넘어 ‘역사·문화’ 축제로 도약
- [2023 대백제전] “백제문화제 시초된 1955년, 그때 내 나이 열일곱”
- [2023 대백제전] 개막 7일만에 관람객 100만 명 돌파 '대박'
- [2023 대백제전] "낮보다 낭만적인 공주의 밤" 야간 경관쇼 '눈길'
- [2023 대백제전] “아이들과 함께 오세요” 안전·품격 다 잡은 ‘백제문화단지’
- 공주·부여 '대백제전' 흥행, 즐거운 비명...곳곳 숙제도 노출
- ‘백제문화제재단’ 해산 절차 돌입..연말까지 마무리 전망
- 오인환 “충남도, 백제문화제 ‘공주·부여’ 갈등 적극 중재해야”
- 충남도 ‘18조 투자유치·대백제전 성공 개최’ 등 올해를 빛낸 시책 선정
- 백제문화제 '격년제' 띄운 박정현 "독자노선" 재확인
- 공주 vs 부여, 충남도 빠진 ‘백제문화제’ 주도권 놓고 신경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