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주민들 "설명 듣고 싶은데 왜 막나" 볼멘소리
오후 2시 수몰 예정지 부여 은산에서 공청회 예정

환경부 박제현 물관리실장이 27일 오전 10시 청양 문예회관에서 예정됐던 공청회를 취소한다는 발언을 하고 있다. 반대대책위 주민들과 취재진에 둘러싸여 "제대로된 설명을 드리지 못해 죄송하다. 추후 일정을 다시 잡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다소미 기자. 
환경부 박제현 물관리실장이 27일 오전 10시 청양 문예회관에서 예정됐던 공청회를 취소한다는 발언을 하고 있다. 반대대책위 주민들과 취재진에 둘러싸여 "제대로된 설명을 드리지 못해 죄송하다. 추후 일정을 다시 잡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다소미 기자. 

환경부가 27일 청양 문예회관에서 지첨댐 건설 후보지 선정과 관련해 공청회를 진행하려 했지만 반대대책위원회의 반발에 결국 취소됐다.

환경부 공청회는 이날 오전 10시 시작될 예정이었지만, 반대대책위가 이보다 앞선 9시부터 ‘물러가라’고 외치며 공청회 장소를 점거하면서 환경부 관계자를 비롯해 충남도, 청양군 관계자를 향해 격렬히 저항했다. 

10시 20여 분쯤 반대대책위의 저지로 행사장 내에서 밖으로 잠시 물러나있던 박제현 환경부 물관리실장은 “오늘 공청회는 취소하도록 하겠다. 많은 분이 오셨는데 제대로 된 설명을 드리지 못해 죄송하다”고 말했다. 

박 실장의 취소 발언에도 반대대책위는 그의 발언을 막고 ‘물러가라’는 구호를 이어갔다. 

반대대책위는 이날 환경부 공청회보다 1시간 빨리 공청회 장소를 찾아 무대를 비롯해  시설을 점거했다. 김다소미 기자. 
반대대책위는 이날 환경부 공청회보다 1시간 빨리 공청회 장소를 찾아 무대를 비롯해  시설을 점거했다. 김다소미 기자. 

김명숙 반대대책위 공동위원장은 무대에 올라 “정부는 댐을 만들겠다는 발표를 먼저 하는 게 아니다. 주민 의견을 듣고 교환하도록 돼 있다. 그런데 정부는 우리는 댐을 원하지 않았는데 일방적으로 발표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위원장은 이어 “오늘 환경부의 공청회도 의견을 듣겠다는 게 아니라 정부 방침을 미리 정해놓고 행정절차상 ‘우리는 이런 일을 했다’고 전달하려고만 해서 화가 난 것”이라고 말했다.

한 주민은 김 위원장의 발언 도중 “나는 설명을 듣고 싶다. 왜 제대로 된 설명을 듣겠다는 주민의 권리를 막느냐”고 외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반대대책위는 환경부, 충남도, 청양군에 오늘 설명회를 열지 말고 주민이 합의를 봐서 필요하면 연락하겠다고 분명하게 말했다. 그런데 오늘 설명회를 강행했기 때문에 우리 의견을 밝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찰을 향한 경고도 이어졌다. “국민의 세금으로 만든 이곳에서 경찰은 우리 잡아가겠다고, 채증하겠다고 협박하지 말라. 내가 잡혀가서 댐이 안 만들어진다면 여기 있는 사람 다 잡혀갈 것”이라며 “왜 윤석열 대통령과 김태흠 도지사 때문에 우리 친한 (마을 주민들끼리) 싸워야 하나”라고 말했다.

반대대책위의 반발에 환경부 공청회가 취소되자 일부 주민들 사이에선 "설명을 듣고 싶은데 왜 못듣게 하느냐"는 볼멘소리도 나왔다. 김다소미 기자. 
반대대책위의 반발에 환경부 공청회가 취소되자 일부 주민들 사이에선 "설명을 듣고 싶은데 왜 못듣게 하느냐"는 볼멘소리도 나왔다. 김다소미 기자. 

김 위원장은 “그래서 이 문제는 우리가 결정하도록 냅둬야 한다. 군민 여러분. 정말 댐이 생기면 좋아지는 거 없다. 인구 늘어난 곳 없고, 다리 놔주겠다고 하는데 특별한거 아니고 댐이 생기면 기본 인 것”이라며 충남도가 약속한 지원책을 비판했다.

댐 건설 추진위원회 이성우 위원장은 반대대책위의 막무가내식 반발이 이어지자 다른 찬성측 주민들 함께 행사장을 빠져나가며 “뭘 어쩌자는 건지 모르겠다. 본인 입장만 입장이고 우리 입장은 입장도 아니냐”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반대대책위에서 활동하는 다른 주민도 “아무리 어려워도 대대로 우리 후손과 만든 터전을 지켜야 할 것 아니냐. 청양을 포기할건가. 도지사는 보상해준다고 한다. 지천은 우리 어머니다. 이 젖줄을 끊으려는 환경부를 용납할 수 있느냐. 아무리 돈도 좋지만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라고 성토했다.

한편 환경부는 이날 오후 2시 댐 수몰 예정지인 부여 은산면에서 공청회를 이어간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