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주민들 "설명 듣고 싶은데 왜 막나" 볼멘소리
오후 2시 수몰 예정지 부여 은산에서 공청회 예정
환경부가 27일 청양 문예회관에서 지첨댐 건설 후보지 선정과 관련해 공청회를 진행하려 했지만 반대대책위원회의 반발에 결국 취소됐다.
환경부 공청회는 이날 오전 10시 시작될 예정이었지만, 반대대책위가 이보다 앞선 9시부터 ‘물러가라’고 외치며 공청회 장소를 점거하면서 환경부 관계자를 비롯해 충남도, 청양군 관계자를 향해 격렬히 저항했다.
10시 20여 분쯤 반대대책위의 저지로 행사장 내에서 밖으로 잠시 물러나있던 박제현 환경부 물관리실장은 “오늘 공청회는 취소하도록 하겠다. 많은 분이 오셨는데 제대로 된 설명을 드리지 못해 죄송하다”고 말했다.
박 실장의 취소 발언에도 반대대책위는 그의 발언을 막고 ‘물러가라’는 구호를 이어갔다.
김명숙 반대대책위 공동위원장은 무대에 올라 “정부는 댐을 만들겠다는 발표를 먼저 하는 게 아니다. 주민 의견을 듣고 교환하도록 돼 있다. 그런데 정부는 우리는 댐을 원하지 않았는데 일방적으로 발표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위원장은 이어 “오늘 환경부의 공청회도 의견을 듣겠다는 게 아니라 정부 방침을 미리 정해놓고 행정절차상 ‘우리는 이런 일을 했다’고 전달하려고만 해서 화가 난 것”이라고 말했다.
한 주민은 김 위원장의 발언 도중 “나는 설명을 듣고 싶다. 왜 제대로 된 설명을 듣겠다는 주민의 권리를 막느냐”고 외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반대대책위는 환경부, 충남도, 청양군에 오늘 설명회를 열지 말고 주민이 합의를 봐서 필요하면 연락하겠다고 분명하게 말했다. 그런데 오늘 설명회를 강행했기 때문에 우리 의견을 밝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찰을 향한 경고도 이어졌다. “국민의 세금으로 만든 이곳에서 경찰은 우리 잡아가겠다고, 채증하겠다고 협박하지 말라. 내가 잡혀가서 댐이 안 만들어진다면 여기 있는 사람 다 잡혀갈 것”이라며 “왜 윤석열 대통령과 김태흠 도지사 때문에 우리 친한 (마을 주민들끼리) 싸워야 하나”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그래서 이 문제는 우리가 결정하도록 냅둬야 한다. 군민 여러분. 정말 댐이 생기면 좋아지는 거 없다. 인구 늘어난 곳 없고, 다리 놔주겠다고 하는데 특별한거 아니고 댐이 생기면 기본 인 것”이라며 충남도가 약속한 지원책을 비판했다.
댐 건설 추진위원회 이성우 위원장은 반대대책위의 막무가내식 반발이 이어지자 다른 찬성측 주민들 함께 행사장을 빠져나가며 “뭘 어쩌자는 건지 모르겠다. 본인 입장만 입장이고 우리 입장은 입장도 아니냐”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반대대책위에서 활동하는 다른 주민도 “아무리 어려워도 대대로 우리 후손과 만든 터전을 지켜야 할 것 아니냐. 청양을 포기할건가. 도지사는 보상해준다고 한다. 지천은 우리 어머니다. 이 젖줄을 끊으려는 환경부를 용납할 수 있느냐. 아무리 돈도 좋지만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라고 성토했다.
한편 환경부는 이날 오후 2시 댐 수몰 예정지인 부여 은산면에서 공청회를 이어간다.
관련기사
- [청양 지천댐] 아수라장 된 ‘도민과의 대화’..욕설·고성 난무
- [청양 지천댐] 김돈곤 군수 “납득할 수 있는 설명과 대책 절실”
- [청양 지천댐] 대책위 김 지사 순방 맞춰 대규모 집회 예고, 추진위 "선동 멈춰야"
- [청양 지천댐] 청양군의회 ‘댐 건설’ 반대 성명 이어 결의문 만장일치 채택
- [청양 지천댐] “지역발전 마지막 기회”···수몰 대상지 일부 주민들 첫 공식 입장
- [청양 지천댐] 우여곡절 부여 공청회.. 환경부, 설득 ‘안간힘’
- [청양 지천댐] 김태흠 “우려와 걱정 이해해..큰 틀에서 함께 고민하자”
- [청양 지천댐] 관광 인프라 확충?···김돈곤 “청양군 피해 극복 방안이 더 시급”
- [청양 지천댐] 수요는 커지고 공급은 턱 없이 부족···보령댐도 계약률 99%
- [청양 지천댐] 갈등 앞에 선 충남도·청양군 ‘군민 이익 극대화’ 방안 제시돼야
- 김돈곤 군수 "지천댐 건설 찬성할수 없어"
- 충남도 "김돈곤 군수 지천댐 건설 반대 유감"
- ‘청양 지천댐’ 최종 후보지 제외···일단 보류, 12월 분수령
- 청양 지천댐 지역 정비 예산 350억 원→770억 원으로 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