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민에게 일방적 피해 주는 건설은 '반대'.."메리트는 별개로 고민"
충남도·환경부 겨냥.."필요성만 강조하고 설명없어"
김돈곤 청양군수가 26일 정부의 지천댐 건설 후보지 선정과 관련해 “댐 건설과 관련해 지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설명과 대책이 절실한 상황”이라면서도 “군에 일방적 피해가 예상되는 댐 건설이라면 ‘반대할 수 밖에 없는 입장’”이라며 전제를 달았다.
김 군수는 이날 오후 김태흠 충남지사와 군청 대회의실에서 언론인 간담회와 도민과 대화를 열고 최근 논란이 된 정부의 ‘청양 지천댐’ 후보지 선정과 관련한 첫 공식 입장을 밝혔다.
특히 그는 지천댐 건설에 찬·반 입장을 묻는 질문에는 “청양군에 피해를 주는 것은 반대한다”면서도 “어떤 메리트가 있을 것인지는 별개로 고민하고 있다”며 사실상 필요하다면 청양군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을 수도 있다는 여지를 남겼다.
김 군수는 “환경부는 우리 지역 주민의 동의 없이 일방적 댐 건설 후보지를 발표하면서 군민 여론이 찬반으로 분열되고 온갖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며 “이 같은 분열의 원인이 환경부와 충남도에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이런 혼란을 가중시킨 것은 환경부가 충남도가 댐 건설 필요성만을 강조하며 지역 주민이 반대하고 우려하는 사항에 대해선 납득할 만한 설명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데 있다”고 강조했다.
김 군수는 지난해까지 2년 연속 수해 피해를 입은 원인에 대해 “만조시기와 대청댐 방류 시기가 겹치면서 피해가 커졌다”고 분석하면서도 “만약 지천댐이 건설되면 물관리 측면에서도 우려되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김 군수는 만약 ‘지천댐이 건설될 경우 어떤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냐’는 질문에는 “일정 부분 청양의 수해 방제를 위해 필요할 수도 있겠지만, (반대측에서 말하는) 대청댐 방류시기와 겹쳤을 경우, 물관리를 잘못했을 때 우려되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반대대책위원회 1000여 명은 청양 문예회관과 군청 앞에서 댐 건설 백지화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관련기사
- [청양 지천댐] 대책위 김 지사 순방 맞춰 대규모 집회 예고, 추진위 "선동 멈춰야"
- [청양 지천댐] 청양군의회 ‘댐 건설’ 반대 성명 이어 결의문 만장일치 채택
- [청양 지천댐] “지역발전 마지막 기회”···수몰 대상지 일부 주민들 첫 공식 입장
- ‘청양 지천댐’ 극한 대립···김태흠 “반드시 필요” vs 반대위 “당장 철회”
- [청양 지천댐] 아수라장 된 ‘도민과의 대화’..욕설·고성 난무
- [청양 지천댐] 환경부 공청회, 반대대책위 반발에 결국 취소
- [청양 지천댐] 우여곡절 부여 공청회.. 환경부, 설득 ‘안간힘’
- [청양 지천댐] 김태흠 “우려와 걱정 이해해..큰 틀에서 함께 고민하자”
- [청양 지천댐] 관광 인프라 확충?···김돈곤 “청양군 피해 극복 방안이 더 시급”
- [청양 지천댐] 수요는 커지고 공급은 턱 없이 부족···보령댐도 계약률 99%
- [청양 지천댐] 갈등 앞에 선 충남도·청양군 ‘군민 이익 극대화’ 방안 제시돼야
- 김돈곤 군수 "지천댐 건설 찬성할수 없어"
- 충남도 "김돈곤 군수 지천댐 건설 반대 유감"
- 청양 지천댐 지역 정비 예산 350억 원→770억 원으로 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