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공정과 상식' 국정 목표 "스스로 폐기해" 비판
충남 與 성일종·강승규·장동혁 "여당 자격 없어"

박정현 부여군수가 11일 오전 군청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촉구하는 피켓시위에 나섰다. 김다소미 기자. 
박정현 부여군수가 11일 오전 군청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촉구하는 피켓시위에 나섰다. 김다소미 기자. 

 

박정현 부여군수가 11일 비상계엄 사태를 일으킨 윤석열 대통령의 즉각적인 탄핵을 촉구하며 피켓 시위에 나섰다.

전국 지방자치단체장 중 윤 대통령의 ‘탄핵’을 직접 언급하며 시위에 나선 것은 박 군수가 처음이다.

부여군공무원노동조합도 지난 9일부터 군청 외관에 윤 대통령의 탄핵을 촉구하는 현수막을 게첩했다.

박 군수는 특히 군수실에 걸려있는 이번 정부의 ‘국정 목표’ 액자를 떼어내며 “윤석열 정부는 국민에 의해 역사적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 군수가 군수실에 걸려 있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 목표가 담긴 액자를 직접 떼어 내고 있다. 김다소미 기자. 
박 군수가 군수실에 걸려 있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 목표가 담긴 액자를 직접 떼어 내고 있다. 김다소미 기자. 

"성일종·강승규·장동혁, 안일하게 생각하지 말라"


박 군수는 이날 오전 군청 앞에서 “지금 초유의 내란 사태가 발생했다. 국민이 크게 놀랐고 있어서는 안 될 일이 벌어졌다. 대통령 지위에 있는 사람을 통해 헌법이 파괴되고 국정에 큰 혼란이 닥쳤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외환시장이나 증시가 급락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치권에 책임 있는 사람은 문제를 제대로 못 풀고 있다. 당리당략에 따라 사안을 보고 있기 때문”이라며 “이 사태를 빨리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탄핵 외엔 법적 방법이 없다”고 강조했다.

시위에 나선 이유에 대해 “여당의 무책임한 사태 대처 모습을 보고 도저히 가만히 있을 수가 없었다. 빨리 탄핵을 통해 상황을 종식하고 국가를 안정적으로 다시 운영하는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줘야한다는 생각으로 나왔다”고 말했다.

박 군수는 “나는 1980년대 학번이다. 민주화 운동 세대다. 87년 이후 민주주의가 대한민국에 확고하게 뿌리내렸다고 생각했는데 이번 사태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참담하다.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라고 심정을 밝혔다. 

그러면서 “기성세대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국정을 농락했다. 국민의힘은 여전히 탄핵에 부정적이다. 질서있는 퇴진을 운운하고 있는데 국민을 생각하지 않고 오로지 자기들의 이익만을 위한 것”이라고 규탄했다.

박 군수는 “국민의힘은 여당으로서 자격도 없을 뿐 아니라, 공당의 자격도 상실했다. 이번 사태를 정확하게 짚어가면서 내란 공조의 책임이 있다면 정당 해산도 가능하다고 본다. 국민의힘은 지금이라도 내란 사태를 책임지는 여당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또 “충남 여당 성일종, 강승규, 장동혁 의원은 이 사태를 안일하게 생각하지 말고 대한민국과 국민을 생각한다면 책임있는 모습을 보여라. 그 길은 탄핵을 찬성하는 것”이라고 촉구했다.

박정현 부여군수가 "위헌적인 친위 쿠데타를 통해 나라를 내란 사태로 이끌었다. 국정 목표는 자신들에 의해 스스로 폐기됐다”고 강조했다. 김다소미 기자. 
박정현 부여군수가 "위헌적인 친위 쿠데타를 통해 나라를 내란 사태로 이끌었다. 국정 목표는 자신들에 의해 스스로 폐기됐다”고 강조했다. 김다소미 기자. 

대전·충남행정통합, 충청 미래 안 담겨 


박 군수는 군민을 향해 “나라가 어렵다.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 발생했다. 윤 대통령은 내란 수괴로 지목됐다. 친위 쿠데타를 일으켰다. 무정부 상태는 곧 엄중한 절차와 법을 통해 당사자에게 책임을 묻게 될 것”이라며 “우리가 힘을 모아 민주주의를 함께 지켜 나가자”고 당부했다.

박 군수는 시위 이후 군수 집무실 벽에 걸려 있는 윤 대통령의 국정 목표 액자를 직접 떼냈다.

박 군수는 “정부의 국정 목표는 철학이 담겨있다. 윤석열 정부는 ‘공정과 상식, 반듯한 나라’의 철학을 내세웠다. 그런데 반듯하지 않은 불법적이고 위헌적인 친위 쿠데타를 통해 나라를 내란 사태로 이끌었다. 국정 목표는 자신들에 의해 스스로 폐기됐다”고 강조했다.

최근 충남시장·군수협의회장을 맡고 있는 김동일 보령시장으로부터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염두에 둔 협의회장 자리를 제안 받았음을 밝히며 “거절했다. 맡을 상황도 아니고, 공론화 돼 있지도 않다. 행정통합에는 (김태흠 지사와 이장우 시장이) 충청권의 다음 지도자로 부각되는 모습만 보였을 뿐, 충청의 미래는 담겨 있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한편 박 군수는 근무시간 외 오전 8시 30분과 점심 12시에 같은 장소에서 당분간 시위를 이어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