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의회 여대야소 재편, 도정 정책 추진 동력 확보
김 당선인 “도정 방향은 집행부가 결정” 독선 우려도
[황재돈 기자] 국민의힘이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남 기초단체장과 광역의원까지 ‘압승’하면서 김태흠 충남지사 당선인의 도정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충남 15개 시·군 중 청양군, 부여군, 태안군을 제외한 12개 시·군 단체장 선거에서 승리했다. 광역의원 선거에서도 충남도의회 48석 중 36석을 쓸어 담았다.
이 같은 결과는 지역 민심이 집권 초기인 윤석열 정부의 안정적 국정운영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국민의힘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15개 시·군 중 4곳, 도의회 42석 중 8석을 차지하는데 그쳤다. 충남 정치지형이 4년 만에 완전히 뒤바뀐 셈이다.
도의회 우군 확보, 시·군 정책 연대 수월
김 당선인 입장에선 여대야소로 재편된 도의회를 통해 도정 운영 추진 동력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 조례와 안건, 예산 심의·의결 과정에서 다수당의 이점을 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김태흠표 정책' 추진에 있어서도 도와 시·군간 협조가 비교적 수월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양승조 충남지사 경우 '농어민수당 지급'과 '무상교육', '코로나19 국민지원금' 지급에 있어 천안시와 보령시 등 국민의힘 소속 단체장 지역 시·군과 갈등을 겪어왔다.
또한 서산(충남)공항과 KBS충남방송국 설립,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 등 충남 현안사업을 어떻게 풀어낼지도 관심사다.
김 당선인은 이번 선거 결과를 바탕으로 ‘김태흠표 정책’을 강하게 밀어붙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독단적인 도정 추진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김 당선인은 지난 1일 당선이 확실시 된 후 언론 인터뷰에서 "견제 기능을 가진 도의회와 소통을 해야 한다. 긴밀한 소통이 이뤄져야 도정을 이끄는 데 매끄럽지 않겠느냐”면서도 “도정 방향이나 도가 나아갈 방향은 집행부가 결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방의회 권력을 등에 업은 김 후보의 독선적 도정 운영이 우려되는 발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도정운영에서 민주당의 발목잡기를 막겠다'는 의미로 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김 당선인이 각종 정책을 펴기에 좋은 여건이 마련된 건 사실"이라며 "그러나 일방통행식 도정을 추진한다면 야당과 시민단체의 강한 저항과 반발에 부딪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국힘 48석 중 36석, 충남도의회 '여대야소' 재편
- ‘뒤바뀐 4년’ 충청지역 정치권 ‘지각변동’ 불가피
- 김태흠 충남지사 당선인 “연말까지 공직자 인사 없다”
- 김태흠 “막중한 책임감, 충남의 새 역사 쓸 것”
- 김태흠 충남지사 당선 ‘확실’..12년 만에 도정 ‘탈환’
- 김태흠 충남지사 당선인, 민선8기 과제 제대로 풀까
- 김태흠 충남지사 당선인, 김혁종 비서실장 등 인수위 인선 완료
- 김태흠 충남지사직 인수위, 공약 압축·로드맵 마련
- 충남도의회 ‘세대 통합 스펙트럼’ 넓어지나
- 김태흠 “KBS충남방송국 설립 반대하면 시청 거부운동"
- 김태흠 충남지사 당선인 '서번트 리더십' 필요한 이유
- 12대 충남도의회 개원 “도정 견제·감시 책무 다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