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트의눈] 지역 정치권, 여야 대선 후보 공약 반영·관철 노력 필요

[황재돈 기자] 정부가 지난 3일 충남 공항 건설을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 사업으로 선정했다. 지역 최대 숙원사업이 큰 산을 넘은 셈이다. 하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멀다. 예타 통과부터 기본계획 수립, 설계에서 착공까지 거쳐야 할 절차가 여전히 많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충남의 하늘길이 열리기까지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양승조 충남지사는 지난 3일 충남공항 예타 대상 선정 직후 공주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대선 공약에 포함해 충남 하늘길을 개척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행정적 노력으로 절반의 성공을 거뒀다면, 남은 절반은 정치로 풀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충남 공항은 그동안 여러 차례 추진을 시도했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번번이 좌절됐다. 

시작은 지난 1996년 YS(김영삼) 정부였다. 당시 김영삼 대통령은 서산 해미 공군비행장에 민항 건설 검토를 지시했다. 이어 제2차 공항개발 중장기 발전계획에 반영되며 건설 가능성이 제기됐다.

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정부의 신규 지역공항 개발 배제 방침에 따라 불발됐다. 이후 2016년 5월 제5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에 검토·반영되며 같은 해 12월 사전타당성 검토용역을 진행하며 불씨를 되살렸다.

해미 공군비행장 주변에 터미널과 유도로, 진입도로(1.4㎞)를 건설하는 데 509억원이 든다는 비용 추계는 이 용역 결과에서 나왔다. 경제성(B/C) 역시 1.32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8월 정부의 내년도 예산안에 공항 기본계획 수립비 15억원이 반영되고, 9월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 해당 사업이 포함되면서 사업 추진에 동력을 얻었다. 이 과정에서 충남도는 민항유치추진위원회와 합심해 정부를 압박했다. 민관의 노력으로 절반의 성공을 거둔 것.   

이제 남은 절반은 지역 정치권 몫이다. 사실 기재부가 이번 예타 대상 사업 선정에 충남 공항 건설을 선정한 배경도 내년 대선을 의식한 정치적 판단이 작용한 결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충남을 포함한 충청권은 역대 대선마다 ‘캐스팅 보트’였기 때문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나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모두 현재까지 충남 공항 추진 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다. 이 후보는 “시간을 두고 검토해 의견을 밝히겠다”며 유보적이다. 윤 후보는 충남 연고와 ‘충청대망론’을 강조하면서도 충남 공항은 언급조차 하지 않고 있다.

여야 지역 정치권은 각 정당의 대선 후보 공약에 충남 공항 건설을 반영시켜야 한다. 당선 직후 차기 정부에서 제1공약으로 충남 공항부터 추진한다는 ‘서약’이라도 받아둬야 한다.

그래야 내년에 정권을 유지하든, 교체하든 간에 충남 공항 추진이 동력을 잃지 않고 순항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선이 끝나면, 곧바로 지방선거가 치러진다. 지역의 정치적 주도권을 잡겠다면, 여야 모두 지금이 적기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