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아산 시·도의원 김태흠 충남지사와 긴급 면담
경제진흥원 ‘행정재산’ 매각 불가…안장헌, 현안질문 예정
[안성원 기자] 충남도가 경제진흥원 부지 및 건물 매각 추진을 중단할 방침이다. 또 신용보증재단과 경영진흥원 이전 규모를 최소화 하고 민원기능은 최대한 유지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아산 소재 공공기관 이전을 둘러싼 갈등 국면에서 첫 대화의 물꼬를 텄다는 점에서 어떤 결과로 이어질 지 주목된다. (본보 아산시, 충남경제진흥원 부지 매각 ‘반대 입장’ 공식 표명 일자 보도 등)
더불어민주당 소속 안장헌(아산5)·조철기(아산4)·이지윤(비례) 도의원과 김희영 의장을 비롯한 아산시의원 등 11명은 9일 오전 충남도청 앞에서 ‘공공기관 이전을 절대 반대합니다’라는 피켓시위를 한 뒤 김태흠 충남지사와 비공개 간담회를 가졌다.
<디트뉴스> 취재 결과, 이날 간담회에서 아산지역 민주당 시·도의원들은 김 지사에게 아산 소재 도 공공기관 4곳(경제진흥원, 신용보증재단, 정보문화산업진흥원, 과학기술진흥원)의 내포신도시 이전을 반대하는 3800여명 서명부를 전달했다. 또, 이 과정에서 사전 소통과 교감이 없었던 점에 유감 입장을 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지사 역시 이들이 천막농성 등 일방적 반대 행동에 들어간 부분에 아쉬움을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지사는 특히 공공기관 경영효율화 연구용역에서 제시한 경제진흥원 부지 및 청사 매각에 “내부 검토 결과 ‘행정 재산’에 해당하기 때문에 불가하다”며 “향후 활용방안은 아산시 의견을 최대한 존중해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김태흠 "많이 가진 아산, 균형발전 이해해주길"
안장헌 "이전 규모, 주민 불편 최소화에 의미"
도에 따르면 법률재산 및 물품관리법 상, 공공업무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행정재산’은 매각 대상이 될 수 없다. 행정기능을 다하거나 민간사업 인허가 등 사유로 용도폐지가 결정돼 ‘일반재산’으로 분류해야 가능하다는 얘기다.
다만, 핵심 쟁점인 공공기관 이전 여부를 놓고는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지사는 아산시가 경찰병원, 재활병원, 곡교천르네상스사업 등 도내 다른 시·군에 비해 유리한 상황인 만큼,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공공기관 이전을 수용해 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본사 기능만 옮긴 뒤 민원부서와 해당 인력은 유지해 이용자들의 불편을 최소화 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친 것으로 확인됐다.
안장헌 의원은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이번 대화에서 공공기관 이전 철회의 결과를 얻진 못했지만, 이전 규모와 시민 불편을 최소화 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본다”며 “오는 21일 도의회 임시회 긴급 현안질문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공식적으로 질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홍성·예산군민 “충남도 공공기관 내포이전, 균형발전 도모”
- 예산·홍성 정치권 “충남도 공공기관, 내포로 이전 해야”
- 아산시, 충남경제진흥원 부지 매각 ‘반대 입장’ 공식 표명
- 충남 기업인 “공공기관 통폐합·이전 조속히 시행하라”
- 아산 공공기관 이전 논란 '중재 테이블' 열리나
- “아산 소재 충남도 공공기관 내포 이전, 절대 반대”
- 아산시 공공기관 이전 논란, 다가오는 ‘대화의 시간’
- 조길연 충남도의장 “아산 공공기관 이전 논란, 조율 가능”
- 박경귀 아산시장 “민주당, 충남도 공공기관 이전 정치 선동”
- 아산시, 충남도 공공기관 이전 반발 여론 ‘확산’
- 강훈식 “아산시 공공기관, 어렵게 얻고 왜 쉽게 내주나” 일침
- [충청 이슈브리핑] 충남도 공공기관 이전 내홍 심화, 향방은?
- 충남도의회 ‘아산 소재 공공기관 이전’ 갑론을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