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세대별 타겟화, 현금 지원 약속
허, 가사수당·대중교통 반값 무료화
이, 남성층 보상·청년 거주 지원 공략

여야 대전시장 후보군.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허태정 후보, 국민의힘 이장우 후보. 자료사진. 
여야 대전시장 후보군.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허태정 후보, 국민의힘 이장우 후보. 자료사진. 

[한지혜 기자] 더불어민주당 허태정, 국민의힘 이장우 대전시장 후보들이 각기 다른 현금성 복지 공약을 내놓으며 연령·세대별 표심을 파고들고 있다. 허 후보는 가사수당과 반값·무료 대중교통 공약으로 기혼 여성층과 전 연령을, 이 후보는 전역장병 진로수당, 청년월세수당 등 청년층에 공을 들였다.  

허태정 후보는 1순위 공약 과제로 ‘대전형 가사수당 신설’을 약속했다. 전업주부 등 대전에 거주하는 만 20~60세 미만의 비경제활동인구 중 가사노동을 전담하는 이들에게 월 10만 원 씩, 연간 120만 원을 지급하는 게 골자다.

코로나19 이후 집안일을 전담하는 가사노동의 강도가 커졌지만, 이에 대한 사회·경제적 보상이 전무하다는 점에서 공약을 착안했다. 

허 후보는 “다양한 사회복지제도가 존재함에도 이른바 ‘전업주부’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나 보상이 전무하다”며 “가사노동에 대한 정당한 가치를 인정하고, 복지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가사노동 전담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 후보 측이 추산한 대상자는 약 10만 명이다. 제도 시행 시 연간 12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가구별 소득 수준 등을 따지지 않는 보편적 복지 개념으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고, 전업 가사노동자임을 증빙하기 위해 소요되는 행정력 등도 과제로 지적된다. 

사전투표일을 하루 앞두고 추가 공약한 무료·반값 대중교통 정책도 전 연령을 대상으로 한 보편 복지 정책이다. 어린이와 청소년 대중교통 무료화, 성인 반값화, 65세 이상 어르신 무료화 등이 주 내용이다. 연간 소요 비용은 약 800~830억 원이다. 지난해 시가 시내버스 업체에 지급한 적자 보전 재정지원금이 1100억 여 원인 점을 고려하면 이 역시 적지 않은 규모다.

이장우 “제대 장병·청년 거주 문제 지원”

이장우 국민의힘 후보 측이 청년선대위와 함께 청년 정책을 발굴, 지역 대학과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이장우 후보 캠프 제공.
이장우 국민의힘 후보 측이 청년선대위와 함께 청년 정책을 발굴, 지역 대학과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이장우 후보 캠프 제공.

이장우 국민의힘 후보는 주요 현금성 복지 공약을 2030 청년세대에 집중하고 있다. 캠프 내 청년선거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정책 공약을 발굴하며 지역 대학 학생들의 지지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 후보는 지난 24일 병역 의무 이행 청년들에게 전역과 동시에 200만 원의 진로탐색비를 지원하는 정책을 약속했다. 

그는 “청년이 떠나는 대전에서 청년이 모이는 대전을 만들자는 목표로 ‘청년보훈도시 대전’ 공약을 발표했다”며 “장애인 등 정당한 사유를 가진 미필자, 여군 청년들에게도 지급할 것”이라며 보완 과제를 언급하기도 했다.

다만, 일회성 지원 정책으로 선심성 공약이라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고, 필요 재원 규모나 대상 인원을 제시하지 않아 다소 구체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 후보는 본투표일을 3일 앞둔 지난 29일 만 19세부터 39세까지 지역에 거주하는 무주택 청년을 대상으로 연 240만 원의 월세를 지원하는 ‘대전형 청년월세지원 정책’도 내놨다. 국토부 지원 사업과는 별도로 기준을 중위소득 150%까지 높여 수혜 대상 폭을 넓히고, 연령대도 만 34세에서 만 39세까지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초기에는 120억 원의 재원을 확보, 약 5000명의 청년들에게 정책을 우선 시행하겠다는 구상이다. 허 후보와 달리 선별적 복지 정책에 해당한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