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궐위 60일 내 대선 실시..6월 3일 ‘유력’
韓, 오는 14일까지 선거일 공고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 대선의 문이 열렸다. 이제 국민의 눈과 귀는 조기대선으로 집중될 전망이다. ⓒ황재돈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 대선의 문이 열렸다. 이제 국민의 눈과 귀는 조기대선으로 집중될 전망이다. ⓒ황재돈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 대선의 문이 열렸다. 이제 국민의 눈과 귀는 조기대선에 집중될 전망이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대선일은 탄핵 후 60일을 꽉 채운 오는 6월 3일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짧은 선거 운동 기간을 고려해 최대한 기간을 보장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도 60일을 모두 채운 2017년 5월 9일 치러졌다. 박 전 대통령 탄핵일은 같은해 3월 10일이다. 

공직선거법 35조 1항은 대통령 궐위가 발생할 경우 60일 내 대통령 선거를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선거일은 늦어도 선거일 전 50일까지 대통령 또는 대통령 권한대행자가 공고해야 한다고 명시됐다. 

따라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오는 14일까지 선거일을 공고해야 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곧바로 예비후보자 등록을 시작할 예정이다. 국외 부재자 신고와 재외선거인 등록 신청은 선거 40일 전까지 마쳐야 한다. 

‘6.3 대선’이 가시화되면 출마하려는 공직자는 선거 30일 전인 5월 4일까지 공직에서 물러나야 한다. 

이재명 단독질주..국민의힘 대항마 누구?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대선 정국에선 제1당인 민주당이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내에선 대선 주자를 이재명 대표로 몰아갈 가능성이 높다. 당내 경쟁자도 뚜렷하지 않고, 지난달 26일 공직선거법 항소심 무죄판결을 받은 이 대표가 사실상 이 대표가 후보가 될 것이라는 데 이견이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더해 “정권 재창출 만은 안된다”는 심리가 작동하면서 ‘반여(反與) 전선’이 꾸려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그동안 야5당(민주당·조국혁신당·진보당·기본소득당·사회민주당)은 ‘윤(尹) 탄핵연대’를 구축하면서 ‘정권교체’를 추진해왔다.

이 대표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여당 후보 지지율을 합한 것 보다 높은 지지를 받고 있다. 다만, 각종 여론조사에서 높게 조사되는 ‘비호감 이미지’를 극복하는 게 과제로 남는다. 

국민의힘에서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이 후보군에 속한다.

그러나 명태균 게이트에 오 시장과 홍 시장이 엮이면서 자당 시·도지사의 대선 출마 가능성도 점쳐진다. 대표적으로 3선 국회의원을 지낸 김태흠 충남지사와 3선 의원에 재선 도지사인 이철우 경북지사 등 출마가능성이 거론된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