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시민사회·노동·학계·종교단체 尹 퇴진 한목소리
"불법 계엄령 선포 대가 반드시 치러야"

 

4일 오전 8시 대전 서구 은하수네거리에 윤석열 대통령 성토 목소리가 울려퍼졌다. 대전지역 시민사회·노동·학계·종교단체 및 진보정당이 하나둘 모이기 시작했다.

한밤 중 초유의 비상계엄을 선포한 그의 무모함과 무능을 누구보다 먼저 시민에게 알려야 했다. 뜬눈으로 밤을 지새며 플래카드를 만들고 기자회견문을 써내려갔다. 어둠이 걷히고 동이 트기만을 기다렸을테다.

은하수네거리는 삽시간에 ‘45년만 비상계엄 선포 윤석열은 물러나라’, ‘헌정질서 파괴하는 윤석열 정권 끌어내리자’, '윤석열 퇴진' 등 문구가 적힌 플래카드와 현수막으로 채워졌다. 

하나둘 윤 정권 성토를 이어나갔다. 

김윤기 정의당 대전시당 민생위원장은 “초등학교 입학 전에 책에서만 보던 계엄령이 바로 눈앞에서 벌어졌다”며 “윤석열 대통령이 얼마나 우리 국민과 민주주의를 얕잡아봤다면 한밤중에 민주헌정을 중단하겠다는 선언을 할 수 있었겠느냐”고 규탄했다. 

정현우 진보당 대전시당위원장은 “대한민국 헌정사상 가장 많은 거부권을 행사한 검찰 독재 윤석열이 그 본색을 드러냈다”며 “명백한 헌법파괴와 민주파괴, 내란죄다. 엄중치 처벌하고 감옥에 가둬야 한다”고 소리를 높였다. 

"본인 죄 덮으려고 잘못된 판단 내려"

대전지역 시민사회, 노동단체 및 진보정당이 서구 은하수네거리에서 불법계엄 윤석열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플래카드를 들고 있는 모습. 유솔아 기자. 
대전지역 시민사회, 노동단체 및 진보정당이 서구 은하수네거리에서 불법계엄 윤석열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플래카드를 들고 있는 모습. 유솔아 기자. 

시민들은 출근길을 멈추고 이를 지켜보거나 사진을 찍었다. 

중, 장년층에게 '계엄'은 잊으려야 잊을 수 없는 단어다. 

거리에서 만난 60대 한 시민은 “(계엄령) 잘 알죠. 옛날에 박정희도 다섯 번이나 해서 다 죽였잖아. 2024년은 계엄령이랑 어울리지 않지. 나는 (윤석열 대통령이) 아주 미쳤다고 생각해. 대통령은 무슨 대통령이냐”고 쓴소리 했다. 

노모를 모시고 있던 다른 60대 시민 역시 “45세 이하는 잘 모르겠지만 나만 해도 60세가 넘었기 때문에 옛날 전두환 정권 시절 들어설 때 계엄령은 많이 지켜봤다"며 "그렇기에 이게 얼마나 무모하고 엄중한 상황인지 안다. 자기 죄를 덮으려고 잘못된 판단을 내린 부분은 바로잡아야 한다”고 호소했다 

고등학생 자녀를 둔 40대 김 아무개씨는 "어제 밤 11시 학원을 간 아들이 엄마 난리났다고 하며, 자기들도 군대에 끌려가는 것이나고 물었다"며 "불안했다. 당연히 윤석열 대통령을 끌어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청년층에게 '계엄'은 비교적 생소하다. 하지만 드라마와 영화 등 매스컴은 이를 '공포'와 '두려움'으로 묘사한다. 20~30대 직장인들에게 현 사태를 묻자 “실제로 처음듣는 단어니까 걱정도 됐고, 무서웠다”, “나라 망신이다”, “대통령을 탄핵해야 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대전시민항쟁 선포, 퇴진 불씨 지핀다

윤석열정권퇴진대전운동본부 등이 4일 오전 서구 은하수네거리에서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유솔아 기자.
윤석열정권퇴진대전운동본부 등이 4일 오전 서구 은하수네거리에서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유솔아 기자.

이날 오전 9시 대전시민항쟁을 선포하는 기자회견이 본격 시작됐다. 

김율현 윤석열정권퇴진대전운동본부 공동대표는 "다시는 있을 수도, 일어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비상계엄이 선포됐다. 이는 최소한 요건과 절차도 갖추지 않는 명백한 불법"이라며 "계엄은 박정희, 전두환 역대 군사독재 정권이 불의한 권력을 연장하기 위해 선택했던 수단"이라고 질타했다. 

이어 윤 대통령을 향해 "그 계엄으로 얼마나 많은 시민이 체포, 구금되고 죽어갔느냐. 대통령에게 권력을 위임한 국민은 어떤 존재이냐. 우리 사회가 만든 민주주의와 헌법적 가치가 대통령이 짓밟을 정도로 하찮은 것이었느냐"고 따져 물었다. 

남재영 대전비상시국회의 상임대표는 "윤석열이 비상계엄을 철회했지만, (앞으로) 무슨짓을 할지 할 수 없다"며 "우리가 지금까지 봐온 윤석열은 마치 유리박물관에 들어있는 얼빠진 곡괭이와 같아서 한발 움직일 때마다 사회 모든 가치를 박살내 왔다"고 말했다. 

남 대표는 "어제 밤 우리가 목격한 것은 그가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자폭시키는 행태"라며 "이제 시민이 나설 때다. 시민이 항쟁을 선포하고 시민 힘으로 그를 권좌에서 끌어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도엽 원불교 평화행동 공동대표는 “국민에 선전포고를 행한 그를 더 이상 대통령으로 인정할 수 없고, 백성이 국가 살림을 맡긴 자가 오히려 도둑이 되고 반역자가 된 이 사태를 도저히 묵과할 수 없다”며 “헌정질서 파괴는 물론 민주주의를 말살하기 위해 행한 불법 계엄령을 선포한 대가는 마땅히 치러야 한다”고 밝혔다. 

문성호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대표는 "국회가 아닌 당사에 모여 국민이 계엄군에 짓밟히도록 방조한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국민의힘 의원을 즉각 체포해야 한다"며 "윤석열 대통령에게 비상계엄을 건의했다는 김용현 국방부 장관과 계엄포고령을 내린 박안수 육군참모총장도 즉각 체포해야 한다"고 소리 높였다.

한편 이날 회견에는 윤석열퇴진대전운동본부, 대전비상시국회의,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세상을 바꾸는 대전민중의힘 등 지역 시민사회·노동·종교·학계 및 진보정당 31곳이 참가했다. 이들은 같은 날 오후 7시 이 자리에서 윤석열 퇴진 대전시민대회를 열 예정이다. 

진보당 대전시당이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플래카드를 들고 있다. 유솔아 기자.
진보당 대전시당이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플래카드를 들고 있다. 유솔아 기자.
대전시민항쟁 선포 기자회견에 앞서 플래카드를 들고 서있는 모습. 유솔아 기자.
대전시민항쟁 선포 기자회견에 앞서 플래카드를 들고 서있는 모습. 유솔아 기자.
4일 오전 대전 서구 은하수네거리에서 윤석열 대통령 불법 계엄을 규탄하는 대전시민항쟁 선포 기자회견이 열렸다. 유솔아 기자.
4일 오전 대전 서구 은하수네거리에서 윤석열 대통령 불법 계엄을 규탄하는 대전시민항쟁 선포 기자회견이 열렸다. 유솔아 기자.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