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 기자간담회 통해 면담 결과 설명
“육사 및 공공기관 이전 등 지역현안 협의·공유”

김태흠 충남지사가 19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전날 윤석열 대통령과 면담에서 건의한 7개 지역 현안사업을 밝혔다. 황재돈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19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전날 윤석열 대통령과 면담에서 건의한 7개 지역 현안사업을 밝혔다. 황재돈 기자. 

[황재돈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19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전날(18일) 윤석열 대통령과 면담에서 건의한 7개 지역 현안사업을 밝혔다. 건의 내용 대부분 지역 발전을 위한 사업으로, 약 1시간 20분가량 대통령과 관련 내용을 협의·공유했다는 게 김 지사 설명이다.

그동안 김 지사는 지역현안 해결을 위해 '탑다운(Top-Down)' 방식을 선호해왔다. 따라서 이번 대통령과 면담이 향후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김 지사에 따르면, 대통령에게 건의한 사업은 ▲충남산림자원연구소 국유지 맞교환 ▲충남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 ▲육군사관학교 충남 이전 ▲충남지역 국립의과대학 신설 ▲대통령 지방공약 컨트롤 타워 신설 ▲충남 수소산업 육성 지원 ▲반도체 산업 유치 지원 등이다.

충남산림자원연구소 국유지와 맞교환 제안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 ‘드래프트제’ 도입

김 지사는 먼저 세종시에 위치한 ‘충남산림자원연구소’ 문제를 국가 차원에서 해결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1994년 공주시에서 문을 열었지만, 2012년 세종시 출범에 따라 세종시로 강제 편입됐다.

김 지사는 “국가 기본방향에 따라 연구소가 세종시로 편입됐다. 국가에서 강제 편입을 했기 때문에 국가가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생각에 국가에서 매입을 하든 도유지와 맞교환을 하는 방안을 건의했다”고 말했다. “대통령께서 이 부분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했고, 정책기획수석에 살펴보도록 지시했다”고도 했다.

2년 넘도록 공공기관이 이전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충남혁신도시 문제도 거론했다. 김 지사는 “대통령께서 그동안 충남이 역차별 받은 부분이 없지 않다는 부분에서 인식을 같이 했다”며 “2차 공공기관 이전 시 혜택을 받지 못한 충남도에 기업 선택 우선권을 주는 ‘드래프트제’ 도입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육사 충남 이전과 관련해선 "(대통령께서) 생각보다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다"면서도 "육사나 공공기관 이전은 사실 어려운 부분이라는 것을 도민들께서 이해해주셨으면 한다. 확답을 받는다는 것보다, 어떤 생각을 갖고 있고 방향성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했다"고 전했다. 

김태흠 충남지사가 19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와의 간담회를 갖고 있다. 황재돈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19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와의 간담회를 갖고 있다. 황재돈 기자. 

국립의대, 대통령 지방공약 '컨트롤 타워' 신설 요청
"尹, 충청권 공약 기억하고 관심 갖고 있어"

김 지사는 또 “충남과 경북, 전남은 광역시들이 떨어져 나가면서 국립의과대학이 없는 곳”이라며 “이런 문제점은 대통령께서 저보다 많이 알고 계셨다”고 설명했다.

“사립대에 의과대를 설립하는 것은 의사협회와 의사정족수 등을 협의하는 등 정부에서 직접 할 수 있는 부분이지만, 국립대 의대 신설은 법적인 문제가 걸렸다”며 “대통령은 국회서 국립대 의대 신설 관련 논의가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돕겠다 말했다”고도 밝혔다.

이 대목에서 김 지사는 전임지사의 결정에 따른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했다. 그는 "민선 7기 때 의과대학을 갖고 있지 않은 의료재단과 병원유치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며 "국립의과대 설립을 주장하는 입장에서  충남 서남부지역에 병원이 들어설 경우 의과대학 신설에 어려움이 있어 고민스럽다"고 전했다. 

김 지사는 또 “대통령 공약은 국민과 약속이기 때문에 적극 추진돼야 한다는 생각”이라며 “때문에 대통령의 충남 7대 공약과 15개 정책과제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고 했다.

이밖에 충남 미래 먹거리 산업과 관련해 “수소산업과 반도체 산업 측면에서 우리 지역에 유치할 수 있는 부분들과 정책적 뒷받침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그는 끝으로 “1시간이 넘는 시간동안 지역 현안과 관련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며 “다만, 이런 부분들이 하루아침에 해결되는 부분이 아니라 시간이 필요하다. 확실한 건, 대통령은 충청권을 향한 관심과 지역발전 공약을 기억하고 관심을 갖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