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하천 그린뉴딜’ 27일까지 주민설명회
보문산 목조전망대 포함, 환경단체 연속 반발

지난해 6월 보문산 도시여행 인프라 조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허태정 대전시장. 자료사진.
지난해 6월 보문산 도시여행 인프라 조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허태정 대전시장. 자료사진.

허태정 대전시장이 민선 7기를 마무리하면서 각종 환경이슈에 어떻게 대응할지 주목된다. 허 시장의 주요 공약인 둔산센트럴파크 조성, 보문산 관광개발사업 추진은 물론이고 대전 3대 하천 그린뉴딜 사업에 대전열병합 LNG발전 증설 찬반논란까지 각종 환경이슈가 불거지면서 시정에 부담을 주고 있기 때문. 

20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오는 21일부터 27일까지 ‘3대 하천 그린뉴딜 종합계획(안)’ 수립을 위해 중구를 시작으로 자치구별로 주민설명회를 개최한다. 구체적으로 21일 중구, 25일 동구와 대덕구, 27일 서구와 유성구 순서로 진행된다. 

이번 주민설명회는 대전시가 2030년까지 국비를 포함해 4680억 원을 투입하는 ‘3대 하천 그린뉴딜 사업’을 추진하기에 앞서 주민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다. 시는 재해예방과 생태복원, 대전천 하상도로 대체건설과 둘레길, 친수공간 등을 조성하는 사업의 순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허울뿐인 그린뉴딜”이라며 “생태와 복원보다는 개발에 가까운 사업”이라고 반대하고 있다. 대전충남녹색연합과 대전환경운동연합 등은 지난달 초 대전시청 앞 기자회견에서 “대전천을 복원하기 위해 하상도로를 철거해 하천을 생태적으로 복원해 여가·문화 공간을 조성한다고 하지만 본질은 지하차도 건설”이라고 꼬집었다. 

이들은 대전시 3대하천 사업에 대해 “그린뉴딜 개념이나 탄소중립 목표가 없는 개발사업”이라며 “대중교통 활성화나 녹색교통 의미를 담아낼 수도 없는 막개발의 전형”이라고 사업중단을 촉구했다.

앞서 대전시가 제시한 보문산 고층 목조전망대 건설계획도 환경단체 반발을 사고 있다. 대전시는 허태정 시장 공약이기도 한 보문산 관광개발 사업 일환으로 현 보문산 전망대인 보운대를 철거하고 오는 2024년까지 연면적 1140㎡에 지하1층, 지상4층, 높이 50m의 목조전망대를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보문산 목조 전망대 건축계획에 대해서도 환경단체는 즉시 반발했다. 녹색연합 등 환경단체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보문산 민관공동위원회는 11번의 회의와 숙의과정을 거쳐 보문산 전망대에 대해 ‘고층형 타워 설치 반대’와 ‘편의시설과 디자인을 고려한 전망대 및 명소화 조성’에 합의했다”고 주장했다. 

대전시가 이 같은 합의사항을 어기고 고층 목조 전망대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는 것이 시민단체 주장으로, 이들은 시에 원점재논의를 요구하고 있다. 

이 같은 환경논란들은 허태정 대전시장에게도 정치적 부담을 안겨 줄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 지방선거를 1년 앞두고 민선7기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해야 할 시점이기에 각종 환경논란이 족쇄가 될 수 있다. 

대전열병합발전이 대덕구 신일동에 LNG발전 증설을 추진하면서 지역사회에 찬반논란이 뜨겁게 불붙었고, 허 시장 핵심공약인 둔산 센트럴파크 사업도 여전히 찬반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보문산 목조전망대 건립과 3대 하천 그린뉴딜 사업은 갑자기 툭 튀어나온 사업이 아니라 찬반갈등을 계속 품고 있었던 시한폭탄 같은 사업”이라며 “갈등이 불거지기에 앞서 충분한 시간과 숙의절차가 있었던 만큼, 갈등이 표면화되면 완충작용 없이 시장에게 정치적 부담을 즉각 안겨줄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