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환경단체 기자회견, 허태정 시장 향해 “책임 묻겠다” 경고
[김재중 기자] 대전시가 보문산 목조전망대 건립사업에 속도를 내자, 지역 시민단체 등이 사업 중단을 요구하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민관공동위원회 협의사항을 일방적으로 무시한 처사”라며 허태정 시장을 향해 “독선에 대한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하고 나선 것.
13일 대전충남녹색연합과 대전충남생명의숲, 대전환경운동연합 등 3개 단체는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관공동위원회가 6개월여에 걸쳐 11차례 회의를 진행하고 두 차례 현장방문 등을 통해 ‘고층타워 설치 반대’ 등을 협의했지만, 대전시가 (최근) 설계공모 선정, 명칭 공모 등 일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전시는 지난달 말 보문산 전망대 설계공모를 통해 친환경 미래도시로 연결을 형상화 한 공모작 ‘빅 트리(big tree)’를 선정한 바 있다. 당시 시는 “복합문화공간을 연출하기 위해 연면적 1226㎡, 전망동과 복합문화동 2개동으로 건축하고 전망동의 최고 높이는 48.5m로 결정했다”며 “실시설계 과정에서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보완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환경단체는 이 같은 대전시 행정에 대해 “시민들에 대한 기망일 뿐만 아니라 거버넌스 가치를 철저히 무너뜨리는 후안무치한 작태”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서도 “대전시 행정은 폭주하고 있다. 그 열차에는 시민도 없고, 거버넌스도 없고, 기후위기 탄소 중립의 핵심가치도 없다”며 “개발망령에 사로잡혀 개발제한 법령도 뒷전으로 미뤄둔 채, 거버넌스를 행정편의 도구로 전락시켜 자기들만의 목적을 이루는 것에 혈안이 되어 있다”고 맹비난했다.
문성호 대전충남녹색연합 공동대표는 “독선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묻겠다”고 허태정 대전시장을 겨냥했다. 문 대표는 “일부 언론에서 보문산 관광개발 사업을 두고 대전시와 환경단체간 갈등이라고 보도하고 있는데, 유감”이라며 “갈등이 아니고, 약속을 어긴 대전시와 허태정 시장에게 책임을 묻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 환경단체는 대전시가 추진 중인 '보문산 도시여행인프라 조성사업' 중단과 함께 허태정 시장의 사과 및 후속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보문산 개발사업은 민선 4기 이후 대전시가 이름을 바꿔가며 추진해 왔지만, 환경과 개발의 관점이 부딪치면서 논란만 증폭시켜 왔다. 민선 4기엔 보문산 뉴그린파크 프로젝트, 민선 5기엔 보문산권 종합관광개발, 민선6기에 제6차 대전권관광개발계획에 이어 현 민선7기 보문산 도시여행인프라 조성사업까지. 관광단지 개발, 모노레일이나 케이블카 등 관광형 이동수단 설치가 반복적으로 거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