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찾은 환경단체·주민, 증설 추진 반대 표명
“주민 수용성 낮고, 에너지 전환 취지 무색” 주장
대전열병합증설반대총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가 25일 오전 11시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LNG 발전 증설 사업 계획 불허를 촉구했다.
대전열병합발전(주)(이하 대전열병합)은 올해 3월 LPG와 벙커C유 등을 사용하는 기존 113MW(메가와트)급 발전설비를 495MW급 LNG발전 설비로 교체하기 위한 집단에너지사업 변경사업계획서를 산자부에 제출했다.
이후 대전충남녹색연합, 대전열병합증설반대 관평동주민자치위원회 비상대책위원회, 대전열병합증설반대 신탄진 주민모임, 정의당 대전시당 유성구위원회 등은 환경 문제와 주민 반대, 탄소중립 정부 취지 역행 등의 이유로 증설에 반대해왔다.
비대위는 이날 “LNG 액화천연가스는 재생에너지와 같은 완전한 청정에너지가 아닌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화석연료”라며 “증설이 된다면 대전 내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피해는 지금보다 더 증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들은 대전열병합발전 증설 논란의 가장 큰 문제로 ‘주민 수용성’과 ‘정부의 탄소중립 취지 역행’ 등을 꼽았다.
비대위는 “제대로 된 공청회나 토론회 없이 설명회만 몇 차례 진행했고, 주민 대다수는 증설을 반대하고 있다”며 “발전소 위치는 인근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밀집된 도심지로 증설로 인한 피해가 심각할 수밖에 없고, 시는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최우선 가치로 둬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윤기 정의당 유성구지역위원장도 “정부는 주민 의견이 제대로 반영됐는지, 절차의 문제를 확인해 의견을 다시 제출할 수 있도록 강제해주길 바란다”며 “석탄 발전을 대체하는 것도 아닌, 화석연료 발전 설비를 증설하는 일은 기후위기 시대의 재생에너지 전환 과정과 하등 상관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에너지 전환이라는 큰 과제 앞에서 정부는 민간 기업의 이윤 추구가 아닌 공공성, 국민과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며 "에너지 자립도 제고를 위해서도 명확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개입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대전열병합발전은 대덕산업단지와 관평동, 둔산동 일대 4만 5000가구에 전기와 난방열을 공급하고 있다. 노후시설을 교체해 기존의 벙커C유 중심에서 LNG 등으로 연료를 바꾸겠다는 명분으로 증설을 추진 중이다.
시는 지난달 20일 산자부에 이 사안에 관한 찬반 의견을 담은 의견서를 제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