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일동 인근 주민들 "도심 한 복판 LNG발전소 웬 말"
발전 회사 "노후화 된 설비교체일 뿐, 신설·증설 아니다"
대전 대덕구 신일동에서 LNG 발전소 논란이 불거졌다.
인근 주민들은 "도심 한 복판에 웬 LNG 발전소냐"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지만 해당 발전 회사는 "오히려 환경개선, 고효율 효과"가 있다며 일부 주민들의 오해라는 입장이다.
최근 대전시청 홈페이지에는 'LNG발전소 건설을 반대한다'는 글이 400개 이상 올라왔으며 일부 맘카페에서도 반대 여론이 강하게 형성돼 대전시와 자치구에 항의 전화가 빗발치고 있다.
특히 지난 2019년 6월 중단된 서구 평촌산업단지 LNG 발전소가 대덕구 신일동에 들어선다는 것으로 알려지며 주민들의 반대 움직임이 거센 상황.
시발점은 대덕구 신일동에 위치한 대전열병합발전소(주)의 집단에너지사업 변경 신청이다. 해당 회사는 서구·유성구·대덕구 등 4만 5000 가구의 지역난방과, 대덕산업단지 23개 업체 등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997년부터 운영된 시설 노후화로 설비 교체를 위한 집단에너지사업 변경을 이달 초 산업자원통상부에 신청했다. 그동안 벙커씨유와 LPG 등으로 사용하던 연료를 LNG(액화 천연 가스)로 변경하고 발전 용량도 현재 120MW에서 495MW로 늘리겠다는 내용이다.
이에 산업자원통상부는 대전시에 다음달 9일까지, 대전시는 각 자치구에 31일까지 해당 내용에 대한 의견을 제출하라고 한 상황이다.
대전열병합발전소(주)는 주민들의 "의견 수렴 없는 밀실행정" "서구에서 안되니까 대덕구으로 옮겨 온 것"이라는 주장을 강하게 부정했다.
LNG발전소 증설이나 신설이 아니라 설비 교체라는 것이다.
대전열병합발전소(주) 관계자는 "대부분 발전소들의 설비 수명이 25~30년 정도다. 설비 교체 공사만 해도 5~6년이 소요되기 때문에 지금부터 교체를 고민해야 향후 지역난방과 산단 에너지 공급 문제를 대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오히려 현재의 벙커씨유와 LPG연료를 LNG로 교체하는 것이 고효율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고 환경오염물질 배출도 감소한다"며 "이 같은 내용을 동 주민자치회 등에서 설명했고 이해를 하신 분들이 많았다. 왜 갑자기 이런 집단민원이 발생한지 모르겠다"고 의아해 했다.
또 발전용량이 120MW에서 495MW로 늘어나는 것도 가스터빈이라는 추가 설비를 설치·가동하기 위해서는 최소 용량인 500MW 가 담보돼야 하기 때문이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대전시도 당혹스럽다는 입장이다. 집단에너지 사업 변경과 관련해 자치단체는 아무런 권한이 없는데다 현재 결정된 사항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산자부에서 허가가 나와도 환경부 환경영향평가를 거쳐야 한다. 환경경영향평가 절차에는 주민 설명회와 공청회 등을 반드시 열어야 하는 것으로 돼 있다"며 "밀실·탁상 행정이라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말했다.
단 시간 민원이 빗발치자 대전시 안팎에서는 배후 민원설도 흘러나오고 있다. 익명의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누군가 집단민원으로 끌고가려는 의도가 있는 것 같다"며 "에너지 공급체계에 대한 이해관계 때문에 나오는 배후설"이라고 귀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