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혀지지 않는 찬·반 입장..논란 재점화
이번엔 '여론조사 결과' 놓고 갈등 격화
반대위 '왜곡' 주장에 리얼미터 "사실과 달라"

지천댐을 누고 찬반 갈등이 또 다시 재점화 됐다. 이번에는 충남도가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한 찬반 조사의 결과를 두고 갈등하고 있다. 김다소미 기자. 
지천댐을 누고 찬반 갈등이 또 다시 재점화 됐다. 이번에는 충남도가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한 찬반 조사의 결과를 두고 갈등하고 있다. 김다소미 기자. 

충남도가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발표한 지천댐 건설 관련 여론조사 결과를 두고 반대 대책위원회가 “여론조사가 아니라 여론조작”이라며 강하게 반발한 가운데, 조사 수행기관인 리얼미터는 “사실과 다르며 심각한 명예훼손에 해당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앞서 도는 리얼미터가 세대방문 방식으로 진행한 여론 조사 결과 지천댐 건설에 “76.6%의 주민이 찬성하는 결과가 나왔다”고 발표한 바 있다. 조사는 지난 5월 30일부터 6월 5일까지 지천댐 예정지 반경 5㎞ 이내 4506세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응답자(1524세대) 중 76.6%(1167세대)가 댐 건설에 찬성, 23.4%(357세대)는 반대 의견을 냈다.

신뢰수준 95%, 표본오차 ±5%를 만족시키기 위한 기준은 400세대 수준이지만, 이번 조사는 그 3배가 넘는 1524세대가 응답에 참여했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조사 대상은 청양군 6개면 30개리 마을, 부여군 2개면 15개리 마을이다. 부여에서 총 658세대, 청양군에서 866세대가 조사에 참여했다. 

최종 결과는 부여에서 497세대(75.5%)가 찬성을, 161세대(24.5%)가 반대했다. 청양에서는  670세대(77.4%)가 찬성을, 196세대(22.6%)가 반대했다.

면 단위로 살펴보면 부여 은산면 478세대(74.8%)가 찬성을, 161세대(25.2%)가 반대했다. 청양 대치면 156세대 중 133세대(85.3%)가 찬성을, 23세대(14.7%)가 반대했다. 

청양 장평면에서는 462세대(78.3%)가 찬성을, 128세대(21.7%)가 반대했다. 기타 지역은 139세대 중에서 94세대(67.6%)가 찬성을, 45세대(32.4%)가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리 단위 결과는 주민 갈등을 야기할 수 있어 공개되지 않는다. 

반대위 "여론조사 결과 왜곡" 주장


이에 반대대책위는 24일 오전 충남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세대방문) 조사 요원들이 한 마을에 와서 반대하는 마을 주민들이 많으니까 (설문지) 10장을 놓고 갔다. 대신 해달라고 (놓고간 것)”이라며 “관련 여론조사를 이렇게 해도 될까 (싶다)”고 밝혔다.

이어 “설문 내용에 보면 찬성을 아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질문에도 ‘찬성하십니까?’ 이런 식으로 질문할 정도로 아주 편파적인 여론조사를 했다”며 “결과도 마찬가지로 상당히 왜곡됐다. 소수(를 대상으로 조사하고) 76.6%가 찬성한다는 왜곡 보도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앞선 입장문을 통해 설문조사의 공정성에 의혹을 제기하며 “반대 주민에게는 의도적으로 조사를 피하도록 했다. 세대별 1인 응답 방식은 전수조사도, 표본조사도 아닌 왜곡된 조사”라는 주장을 펼쳤다.

특히 “전체 (조사 대상자) 4506세대 중 겨우 34%인 1524세대(의 의견만 조사하고) 이중 1167세대가 찬성했다고 해서 지천댐 건설에 주민 76.6%가 찬성했다는 것은 억지 논리이고 통계의 기본도 모르는 행정”이라며 “도의 이 논리를 뒤집으면 응답률 34%, 전체 25.9%만 찬성한 셈”이라고 말했다.

같은 시간 반대대책위의 기자회견이 끝난 후 이들과 상반된 입장인 지천댐 건설 찬성 추진위원회 주민들도 “지금 반대 측 주민들이 (지천댐을 건설하지 않고 충남의 만성적 물부족을 해결할) 합당한 대안을 만들어주면 우리도 그쪽으로 찬성하겠다”며 “근데 대안도 안 내놓고 무조건 반대를 한다는 건 말이 안된다”고 호소했다.

또 “오늘 (반대대책위 기자회견 오신분들도) 60%가 지역 주민이 아니다. 환경단체 등 얼굴도 모르는 사람들이 여기 왔다. 지역 주민이 아닌 사람들이 와서 무슨 행태를 벌이고 있는지 개탄스러울 정도”라고 강조했다.

리얼미터 "왜곡 주장..사실과 달라"


이와 관련 리얼미터 관계자는 <디트뉴스>와 통화와 서면 질의에서 “(조사가 왜곡됐다는 반대대책위 주장은) 사실과 다르며, 명예훼손에 해당될 수 있다. 기준이 엄격한 선거 여론조사의 경우 최소 표본을 전국 단위 1000명, 광역시도 단위 800명, 기초시·군 단위 500명을 최소 사례수 요건을 두고 있다”며 “즉 1000명의 의견이 전국 유권자를 대표할 수 있는 최소 사례수로 해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표집되지 않은 미응답 세대를 조사 결과에 반영할 수 없는데 모집단 전체 대비 찬성 비율을 해석하는 것은 상식적이지 못하다”며 “현재 공표되고 있는 다른 여론조사를 참고하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특히 반대대책위가 ‘지천댐 찬반 여론조사요원을 찬성측이 추천한 사람들과 찬성위원회 대표성을 가진 사람으로 구성해 신뢰성과 공정성이 없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서는 “사실과 다르다”고 일축했다.

실제 리얼미터는 세대방문 방식으로 이뤄진 이번 조사에서 지역의 지형을 잘 아는 현지 조사 요원을 일부 마을 이장 등에게 추천을 받고 자체적으로 모집하는 과정을 거쳐 교육 이수 후 조사를 진행했다.

또 반대대책위가 주장한 ‘남양면 등 반대여론이 많은 지역은 1세대도 하지 않은 마을이 많고 대치면 탄정리의 경우 1명이 여론조사에 참여, 찬성했다며 탄정리 찬성 여론을 100%로 잡는 것은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리얼미터 관계자는 “상·하류 인근 세대 전반의 의견을 수렴 및 공표했다. 일반적으로 다른 조사에서도 800명의 표본으로 충남도 전반의 여론을 분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대 여론 높은 지역 고의적 배제? 말도 안돼"


김영명 환경산림국장도 예정에 없던 브리핑을 통해 반대대책위가 지적했던 ‘남양면 등 반대 여론이 많은 지역 의견 조사를 고의로 진행하지 않았다’는 주장에 대해 “(리얼미터에 따르면) 한 명만 의견 조사에 참여한 마을은 없었으며 면 단위로 조사 결과를 분석했고, 리(개별마을) 단위 찬반 의견은 실효성이 없다고 말한다”고 전했다.

이어 “이장 등 마을 대표 협조를 받아 마을별로 고르게 조사원 25명을 모집해 교육을 진행했기 때문에 조사원의 찬반 여부를 알 수 없는 상황으로, 반대 여론이 많은 지역을 고의로 제외했다는 주장은 말이 안된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 국장은 “다만 몇 개 마을은 댐 예정지 반경 5km 경계 선상에 있고 산과 도로 등 사정상 돌아가는 마을이 있어 조사 요원들이 어려움을 호소한 경우는 (있었지만) 의도적으로 마을을 누락시킨 경우는 없었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반대 주민이 빠진 반쪽짜리 협의체 운영 주장도 협의체 구성 시 청양군 및 지정된 반대위에 공문을 발송했고 현지 면담 등을 통해 협의체 참여를 설득했으나 반대위에서 참여하지 않았다. 그동안 지속적으로 참여를 권고했다. 지금이라도 반대위가 협의체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면 정식으로 의견을 나누고 싶은 마음”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