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일 작업 오더 없었다"던 한전KPS 주장 반박
한전KPS, 둘러싼 '산재 은폐' 추가 의혹도 제기
태안화력발전소 故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대책위)가 12일 고인의 휴대폰에 남은 한전KPS의 작업 지시 정황을 공개했다.
대책위가 분석한 김 씨의 휴대폰 기록에 따르면 고인은 한전KPS 직원으로부터 작업 지시를 받고 작업 전 안전회의(TBM)일지를 작성했던 것으로 보인다. 지시받은 작업 완료 후 카카오톡 메신저로 담당자에게 보고하는 방식이다.
현재 해당 사건은 경찰을 비롯해 고용노동부에서 수사 및 조사 중이다. 작업 도중 사망한 김 씨를 두고 원청인 한전KPS는 “당일 작업 오더가 없었다”, “임의 작업 중 사망”이라고 밝혀왔지만 이를 뒤집을 만한 기록이 고인의 휴대폰에 남아있었던 것이다.
대책위는 “가장 먼저 눈에 띈 것은 TBM일지에 가장 많이 등장했던 이름인 김 모씨와 나눈 대화였다. 고인이 김 씨에게 작업한 공작물의 사진을 보내면서 ‘홈을 다 가공하기엔 가공부가 너무 넓어질 것 같아 흠이 좀 남아있다’ ‘많이 걱정했다’ ‘전체적으로 패인 부분이 많아 살짝 가공했다’ 등과 같은 작업 내용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고 말했다.
고인의 휴대전화에 등장한 김 모씨는 한전KPS 소속 기계1팀 직원이다. 한전KPS비정규직지회는 그가 맡은 담당 설비가 선반의뢰에 자주 필요했던 것으로 파악했다.
대책위 최진일 상황실장은 “고인의 사망 이후 사고 원인 조사 외에도 발전소 내 하청노동자의 다양한 위험과 부당하고 위법한 노동 환경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한전KPS의 산재 은폐 정확을 밝혔다.
최 실장은 “다친 사람은 많지만 산재처리를 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적당히 치료비만 받고 출근했다는데 3일 이상 휴업일 경우만 노동부에 산재발생보고를 하게 돼 있는 규정을 악용해 일을 못해도 출근은 시킨 것”이라며 “이런 행위는 단순 보고 누락을 넘어 고의적인 산재 은폐”라고 강조했다.
특히 “고인의 동료가 가장 자주하는 작업 중 하나는 터빈용 냉각수필터를 뜯어내고 운반하는 일이다. 2차하청업체가 보유한 장비라고는 간단한 수공구 뿐이다. 200kg짜리 필터를 운반할 트럭도 없어 한전KPS것을 빌리거나 조합원 개인차량을 이용했다”고 설명했다.
또 “그마저도 안되면 리어카에 싣고 발전소현장을 끌고 다녔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발전소 안에는 수상태양광발전시설이 있다. 물 위에 태양광 패널을 띄워놓고 발전하는 시설”이라며 “수심이 깊고 유속이 빨라 매우 위험한 환경이다. 노동자들은 구명조끼를 입고 밧줄 하나에 의지해 작업을 해왔다. 파손되고 부실한 부력제는 사람이 밟으면 물속으로 가라앉는다”고 말했다.
최 실장은 “이처럼 발전소 안에서 위험하고 힘든 일들은 하청노동자들에게 떠넘겨지지만 그 일들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장비와 환경은 주어지지 않았다. 김충현 노동자의 죽음에 대한 진상규명은 단순히 사고의 원인을 밝히는데 그쳐서는 안된다”며 “고인이 위험을 무릎 쓰고 안전관리까지 혼자 도맡을 수 밖에 없었던 하청노동자들의 현실을 분명히 드러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관련기사
- ‘故김충현 모독 논란’ 충남도의회 사과..“공감 부족 모습 죄송”
- 故김충현 사고 대책위 “충남도의회 당장 공개 사과하라”
- 충남도의회, 故김충현 사고 '대책 따로, 사진 따로?'
- ‘故김충현 애도’ 홍성현 충남도의장 “철저히 조사”
- “왜 또 혼자였냐” 질문에 아무도 답하지 않았다
- ‘故김충현 사고’ 현장 찾은 우원식 “노동부 납득 안돼” 질타
- ‘故김충현 사고 대책위’ 강훈식 비서실장에 요구안 전달
- "원청 지시 있었다"…故김충현 대책위, 한전KPS 주장 반박
- '태안화력 사고' 故김충현 씨 사인은 '다발성 골절' 추정
- 故김충현 씨 삼일장 시작..김민석 총리 후보자 조문
- 故김충현 생전 한전KPS 측 작업 요구에 “절차대로 해달라”
- “차별없는 세상에서 만나자” 故김충현 눈물의 영결식
- 5개 발전사, 故김충현 죽음은 침묵하고 ‘협약식’은 참석
- 서부발전·한전KPS "책무 다하지 못해" 공식 사과
- 다시 '죽음의 일터'로 밀려나는 故김충현 동료들
- 노동자가 이겼다···법원 ‘한전KPS 불법파견’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