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윤-친한계 계파갈등 심화..주도권 쟁탈전
친윤계 최고위 사퇴 ‘3명+∝’ 땐 비대위 가동
강승규, 한동훈 책임론 부각 선봉 설까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에 따라 국민의힘 내부가 출렁이고 있다. 대통령 탄핵을 두고 이미 친윤계와 친한계 극심한 갈등이 표출된 데 이어 탄핵안 가결에 따른 책임론이 불거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
한편으로 국민의힘은 ‘자중지란(自中之亂)’ 속 당내 분열 막기에 힘쓰는 모습이다. 여기에는 지난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후 책임론이 불거지며 당이 쪼개진 경험을 되풀이 해선 안된다는 배경이 깔렸다.
눈여겨 볼 점은 국민의힘이 '비대위 체제'로 전환할 것인가다. 책임론을 매개로 친윤계 최고위원 총 사퇴에 더해 친한계 의원 1명이라도 사퇴하면 한동훈 체제는 무너진다.
국민의힘 당헌·당규에 따르면, 최고위원 5명 중 4명 이상이 사퇴하면 최고위는 해산되고 비대위 체제로 전환된다. 현재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친윤계 김민전·인요한·김재원 의원과 친한계 장동혁·진종오 의원으로 구성됐다.
즉, 친윤계 최고위를 중심으로 연쇄 사퇴가 일어날 경우 장동혁·진종오 최고위원 중 한 명 만 사퇴하더라도 국민의힘은 비대위를 꾸려야 한다. 장 최고위원이 '운명의 키'를 쥐게 됐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앞서 장 최고위원은 탄핵안 통과 시 사퇴 가능을 두고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일단 신중론을 폈지만, 가능성은 배제하지 않고 있다는 의미로도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인요한 최고위원은 최근 한 언론 인터뷰에서 “권성동 원내대표가 ‘지금은 당이 화합할 때’최고위원직 사퇴를 만류했다”고 밝힌 바 있다.
최고위 ‘연쇄 사퇴’에 따른 당 분열을 막겠다는 권 원내대표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앞서 권 원내대표는 지난 12일 원내대표 선거 정견 발표 당시 “탄핵보다 무서운 것은 분열”이라고 강조한 바있다.
한동훈 책임론 부각..강승규 돌격대장 되나
이날 탄핵안 가결에 따른 화살은 ‘탄핵 찬성’을 공개적으로 밝힌 한 대표를 향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친윤계 의원을 중심으로는 탄핵안 가결 책임을 한 대표에게 묻겠다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그 중심에는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 출신 강승규 의원(충남 홍성·예산)이 설 수 있다. 강 의원은 그동안 한 대표에 맞서온 인물이다. 그는 ‘국민의힘 당원 게시판 논란’과 과거 ‘대통령실 생각이 민심과 동떨어졌다’는 한 대표 발언을 두고 맹비판했다.
최근 한 대표가 윤 대통령 제명과 출당을 위한 당 윤리위원회를 소집하면서도 충돌했다. 그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금 ‘당 대표 권능’에 대해 대단한 착각을 하고 있다. 당 대표 사견이 당 전체 당론일 수 없다”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비대위 체재 전환의 키를 쥔 장동혁 최고위원, 한동훈 대표 저격수 강승규 의원. 탄핵 정국에서 충청권 의원의 향후 행보가 국민의힘 운명을 가를 전망이다.
관련기사
- '尹 탄핵안' 국회 통과..비상계엄 선포 11일만
- '尹 탄핵안' 통과..野 "국민·민주주의 승리" 한목소리
- [국회현장] 탄핵 재표결, 다시 모인 시민 "윤석열 탄핵·구속"
- 시민의 '값진 얼굴'로 지워버린 '갑진 105적'
- "결코 포기 않겠다"..반성 없는 尹 입장문
- [전망] 윤석열 탄핵, 이후 어떤 과정 밟을까?
- [속보] 윤석열 탄핵소추안 국회 가결..찬성 204명, 반대 85명
- 尹 탄핵 소추안 가결, 대전 단체장 입장 '온도차'
- 한동훈 "극단세력 동조하면 보수 미래 없어"..사퇴
- [디트의 눈] 강승규 의원님의 배려에 경의를 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