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윤-친한계 계파갈등 심화..주도권 쟁탈전
친윤계 최고위 사퇴 ‘3명+∝’ 땐 비대위 가동
강승규, 한동훈 책임론 부각 선봉 설까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에 따라 국민의힘 출렁이고 있다. 탄핵 가결에 따른 책임론이 불거지면서 친윤계 최고위원 총사퇴에 더해 친한계 의원 1명이라도 사퇴할 경우 비대위가 꾸려지기 때문이다. 자료사진. 황재돈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에 따라 국민의힘 출렁이고 있다. 탄핵 가결에 따른 책임론이 불거지면서 친윤계 최고위원 총사퇴에 더해 친한계 의원 1명이라도 사퇴할 경우 비대위가 꾸려지기 때문이다. 자료사진. 황재돈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에 따라 국민의힘 내부가 출렁이고 있다. 대통령 탄핵을 두고 이미 친윤계와 친한계 극심한 갈등이 표출된 데 이어 탄핵안 가결에 따른 책임론이 불거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

한편으로 국민의힘은 ‘자중지란(自中之亂)’ 속 당내 분열 막기에 힘쓰는 모습이다. 여기에는 지난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후 책임론이 불거지며 당이 쪼개진 경험을 되풀이 해선 안된다는 배경이 깔렸다. 

눈여겨 볼 점은 국민의힘이 '비대위 체제'로 전환할 것인가다. 책임론을 매개로 친윤계 최고위원 총 사퇴에 더해 친한계 의원 1명이라도 사퇴하면 한동훈 체제는 무너진다.

국민의힘 당헌·당규에 따르면, 최고위원 5명 중 4명 이상이 사퇴하면 최고위는 해산되고 비대위 체제로 전환된다. 현재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친윤계 김민전·인요한·김재원 의원과 친한계 장동혁·진종오 의원으로 구성됐다.

즉, 친윤계 최고위를 중심으로 연쇄 사퇴가 일어날 경우 장동혁·진종오 최고위원 중 한 명 만 사퇴하더라도 국민의힘은 비대위를 꾸려야 한다. 장 최고위원이 '운명의 키'를 쥐게 됐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앞서 장 최고위원은 탄핵안 통과 시 사퇴 가능을 두고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일단 신중론을 폈지만, 가능성은 배제하지 않고 있다는 의미로도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인요한 최고위원은 최근 한 언론 인터뷰에서 “권성동 원내대표가 ‘지금은 당이 화합할 때’최고위원직 사퇴를 만류했다”고 밝힌 바 있다. 

최고위 ‘연쇄 사퇴’에 따른 당 분열을 막겠다는 권 원내대표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앞서 권 원내대표는 지난 12일 원내대표 선거 정견 발표 당시 “탄핵보다 무서운 것은 분열”이라고 강조한 바있다. 

한동훈 책임론 부각..강승규 돌격대장 되나

이날 탄핵안 가결에 따른 화살은 ‘탄핵 찬성’을 공개적으로 밝힌 한 대표를 향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친윤계 의원을 중심으로는 탄핵안 가결 책임을 한 대표에게 묻겠다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그 중심에는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 출신 강승규 의원(충남 홍성·예산)이 설 수 있다. 강 의원은 그동안 한 대표에 맞서온 인물이다. 그는 ‘국민의힘 당원 게시판 논란’과 과거 ‘대통령실 생각이 민심과 동떨어졌다’는 한 대표 발언을 두고 맹비판했다. 

최근 한 대표가 윤 대통령 제명과 출당을 위한 당 윤리위원회를 소집하면서도 충돌했다. 그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금 ‘당 대표 권능’에 대해 대단한 착각을 하고 있다. 당 대표 사견이 당 전체 당론일 수 없다”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비대위 체재 전환의 키를 쥔 장동혁 최고위원, 한동훈 대표 저격수 강승규 의원. 탄핵 정국에서 충청권 의원의 향후 행보가 국민의힘 운명을 가를 전망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