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보고회' 사건 이후 與홍성군의원들의 성명 '논란'

강승규 국민의힘 국회의원(홍성·예산). 디트뉴스DB.
강승규 국민의힘 국회의원(홍성·예산). 디트뉴스DB.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의 후광을 업고 금배지를 달았던 강승규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그의 체포 순간까지도 한남동 관저로 달려가 인간 방패를 자처하며 처절한 충성심을 드러냈다.

강 의원은 당선 이후 더불어민주당을 향한 ‘편협적’ 비판을 줄곧 이어오더니 급기야 위헌, 위법적인 비상계엄을 옹호했다. 윤석열의 체포에 대해 ‘현직 대통령 신분으로 체포를 감내한 것은 국가 권력기관 간의 무력충돌을 막고, 특히 현장에 있는 젊은 경찰관들의 안전을 위함’이라며 윤석열과 똑같은 논리로 대변했다.

같은 날 그의 지역구 홍성에서 여야 군의원들의 순차적인 성명서 발표가 있었다. 기자회견의 포문을 연 것은 더불어민주당 의원 4명이다. 윤석열이 체포되기 전 10시에 군청 브리핑룸에서 강 의원의 행태를 ‘독재 회귀의 전조’라고 규정하며 사퇴를 촉구했다.

이들의 비판은 ‘내란 공범이냐’는 시민의 질문에 ‘경찰을 부르라’고 지시한 강 의원의 의정보고회 사건 때문이다. 강 의원은 연초부터 의정활동 보고는 의원의 책무라며 탄핵 정국 속에 지역구 홍성과 예산에서 의정보고회를 이어가고 있다.

사건은 13일과 14일 각각 홍성읍·홍동면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보고회에서 발생했다. 의정보고회 소식을 알리는 과정부터 공무원을 동원했다는 의혹을 받아 논란의 중심에 섰지만, 강 의원을 비롯한 측근은 해명 대신, 보고회 강행으로 화답했다.

야당 의원들의 성명서가 일제히 보도되자, 여당인 국민의힘 의원 7명도 같은 날 오후 늦게, 성명서를 내고 "보고회에 난입해 흙탕물을 만드는 진보당, 예산군농민회 및 시민단체의 행태는 셀프 피해자 코스프레와 업무 방해"라며 "실질적 피해자는 강 의원이다. 실제 처벌로 이어지지 않도록 배려한 강 의원에게 감사해야 할 일이다"라고 말했다.

또 "강 의원의 경찰을 부르라는 말은 의정보고회를 듣기 싫으면 안 오면 그만인데 굳이 와서 시비를 걸고 의원직 사퇴까지 거론하는 이유는 단 하나, 이재명의 수 많은 죄를 가리고자 흠집내기로 물타기를 하는 것으로 밖에 풀이되지 않는다"라고 강조했다.

윤석열을 대변하는 강승규와 강승규를 대변하는 국민의힘 홍성군의원들. 이들의 주장에는 공통된 태도가 엿보인다. 문제의 본질에는 한 치 앞도 다가가지 못하면서 국민의 엄중한 요구를 ‘네편 내편’ 가르기의 수단으로 활용한다는 점이다.

의정보고회의 대상이 누구였나. 혼란스런 시국에도 의정보고회를 열며 자신의 활동을 알리려 했던 그의 보고는 누구를 향한 것이었나. ‘듣기 싫으면 안 오면 된다’는 여당 의원들은 한표라도 더 얻기 위해 치열한 선거판에서 ‘뽑기 싫으면 뽑지 말라’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나.

헌법재판소에서 진행되는 탄핵 심판의 결과가 어떻든 강 의원은 윤석열을 계속 대변할 모양새다. 만약 헌재가 탄핵을 인용하면 헌재의 판단이 잘못됐다고 비판할 공산이 커 보인다.

‘내란 공범이냐’를 물었던 시민의 정당 소속 여부는 문제의 핵심이 아니다. 내 편이 아니라고 판단한 공격적인 질문도 감당 못 하겠다는 그의 자세가 문제다. 그리고 그런 행태를 실제 고발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한 ‘배려’라는 여당 군의원의 인식이 더 큰 문제다.

시민의 한표를 구걸하는 처지에 있는 자들이 시민을 편가르기 한다. 이들의 그릇된 인식에 경의라도 표해야 그들의 편이 될 자격이 주어지나.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