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전남 '의대신설'에 속도
충남, 지역별 의사 수 전국 '최하위'
윤석열 대통령의 충남 지역 공약인 ‘국립의대 신설’이 좀처럼 가시화 되지 않는 가운데 보건복지부가 전남도에 의대 신설을 위한 ‘정원배치’를 약속하면서 충남의 입장이 난처해졌다.
국립의대 신설의 첫 발은 ‘정원배치’부터 시작하는데 전남은 이를 약속한 반면, 충남의 경우 기존 단국대·순천향대 의대의 정원 증원만 확정된 상황이다.
윤 대통령은 앞서 지난 3월 14일 전남 목포에서 열린 지역 민생토론회를 통해 ‘전남도 국립의대 추진 문제는 먼저 어느 대학에 할 건지 정해서 알려주면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광역단체 유일 사립·국립 의대 없는 ‘전남’
순천대 vs 목포대 ‘공모 경쟁’
보건복지부 박민수 차관은 지난달 31일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비례)의 ‘2026년 전남 국립의대 신설을 위한 정원 배정 요구’에 전남도 공모 절차가 끝나는 대로 어떤 방식으로든 정원 배정을 반드시 할 것이라고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남도는 광역단체 중 유일하게 사립·국립 의대가 없다는 당위성을 내세우고 있다.
복지부가 공모 방식을 제시한 이후 전남도는 의대 공모와 관련해 용역사를 선정했다. 지역 국립대인 순천대와 목포대 응모와 평가를 거쳐 11월께 정부에 추천할 계획이다.
다만 순천대가 전남도 공모를 거치지 않고 독자적으로 정부에 의대 설립 신청을 하겠다고 밝히고 있어 갈등이 촉발됐다.
‘충남’ 의료취약지역 전남보다 심각
지역별 의사 수 전국 최하위 수준
충남은 최근 몇 년 전부터 ‘국립공주대학교 의대 신설’을 위한 움직임을 본격화했다. 대학이 위치한 공주시에 유치할 것이라는 당초 계획과 달리, 공주대 예산캠퍼스가 있는 충남도청 소재 내포신도시(홍성‧예산 일원)에 부지를 마련한 상태다.
지난달 23일 국민의힘 강승규 의원(홍성‧예산)은 의대 신설을 위한 특별법을 대표 발의했고 충남도‧공주대‧예산군은 관련 TF를 구성해 운영 중이다.
특히 도는 1일 ‘국립의대 설립 범도민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의대 신설을 촉구하기 위해 100만 명 서명운동 전개를 시작했다.
충남의 당위성은 ‘지역별 의사수’가 전국 최하위라는 점이다. 충남지역 인구 1000명 당 의사수는 0.87명이다.
공공병상 비중도 9.7%밖에 되지 않는다. 의료 취약 지역은 전남보다 훨씬 심각한 상황.
국립공주대 정남수 기획처장은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복지부가 추후 신설 수요를 받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 전남의 경우 지역개발 차원에서 접근하는 부분도 있다”며 “충남은 (의료 분야만으로도) 상당히 취약하기 때문에 당위성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정 기획처장은 이어 “국립대로서 지역 내 역할에 부응하기 위해 의대 설립을 추진 중이고, 자체적인 예산이나 인프라는 부족하지만, 충남 의대 신설은 반드시 이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관련기사
- 국립공주대학교, 충남 최초 의과대학 설립 '의지'
- 충남 여야 총선 후보 “尹·韓 원팀” vs “정권심판”..공약은?
- ‘충남 의대 신설’ 조철기 “진전 없어” vs 김태흠 “여건 좋아져”
- 김태흠, 의대 증원 계획에 “지역 국립 의대 설립 빠져” 유감
- 김태흠 충남지사 “대통령 지역공약 공모 전환 안돼”
- 김민수 충남도의원 “국립의대설립추진위 구성해야”
- 국립공주대학교 교직원 "의과대학 설립 요구" 한목소리
- 공주대, 김태흠 띄운 '의대 신설'에 "도와 발 맞출 것"
- 김태흠 "충남도 국립 의대 필요" 공주대 의대 신설 본격화 되나
- 尹 "국립대병원 육성, 의료 인력 확충" 충청권, 의대 정원 확대 '반색'
- ‘국립공주대 의대 설치’ 예산이냐 공주냐···시군 경쟁 조짐
- 국립공주대 의대 설립, 이달 말 가시권 진입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