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국립의대 설립' 윤 대통령 공약 강조
집행부, 의회 손잡고 220만 도민 염원 이뤄야

김민수 충남도의원이 도의회 차우너의 '국립의대설립추진위' 구성을 제안했다. 자료사진. 
김민수 충남도의원이 도의회 차우너의 '국립의대설립추진위' 구성을 제안했다. 자료사진. 

[내포=디트뉴스 김다소미 기자] 김민수 더불어민주당 충남도의원(부여·비례)이 6일 도내 ‘국립의대 설립 추진 특별위원회(추진위)’ 구성을 제안했다.

김 의원은 이날 오후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348회 정례회에서 5분 발언을 통해 “도의회 차원의 추진위를 설립해 지방의료 공백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김태흠 충남지사는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 방침에 ‘도내 국립의대 신설 추진’을 본격화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국립공주대 예산캠퍼스 내 ‘의대신설’이 가장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으며, 공주대도 적극적으로 충남도와 협조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인용하며 “지난해 이른바 전국 ‘빅5 병원’에서 치료받은 비수도권 환자만 71만여 명에 달했다”며 “지방에 중증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의료 시스템이 부족하단 뜻”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응급실을 찾아 헤매는 응급실 뺑뺑이, 수백만 명의 원정치료는 국민소득 3만불 대한민국의 어처구니 없는 의료 현실”이라며 “충남 인구 1000명 당 활동 의사 수는 1.5명”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에 공개한 경제정의실천연합의 ‘전국 시도별 응급의료 격차 실채 및 개선방안’ 자료에 따르면,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뇌졸중환자를 치료하는 신경외과 시도 평균 전문의 수는 인구 100만명 당 6.79명으로, 충남은 3.2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심근경색 환자도 마찬가지다. 흉부외과 시도 평균 전문의 수는 인구 100만명 당 5.18명이며 충남은 3.29명으로 절반 수준이다.

김 의원은 “지방 국립의대 수준을 높이고 의대정원을 늘리는 정부의 방향에 공감한다. 그러나 이것이 곧 지방 의료공백 해소로 이어지진 않을 것”이라며 “근본적 원인은 열악한 의료 시스템과 지방에 정착하지 않으려는 의료 인력의 부족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에 ‘지방 국립의대 신설’에 당위성을 부여했다. “충남국립의대 설립은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이라며 “충남의 의료 현실은 의대 설립을 위한 모든 명분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강력한 뜻과 결집된 힘을 보여줄 수 있도록 우리 의회에 ‘충남 국립의대 설립 추진 특별위원회’ 구성을 제안한다”며 “집행부와 의회가 손을 잡고 220만 충남도민을 위해 염원을 이뤄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의원의 이 같은 제안에 동료의원들은 박수로 화답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