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의료 특성 반영한 연구 결과 발표 예정
국립공주대학교 의대 설립 추진 방안 등을 담은 대학의 자체 연구결과가 이달 말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지역별 의사 수가 전국 최하위권인 충남 의대 신설이 본격화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3일 대학 등에 따르면 대학과 충남도, 예산군 등이 참여한 ‘국립 의대 신설을 위한 온·오프라인 서명운동’에는 지난해 8월부터 올해 1월 3일까지 80만 9223명이 동참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은 전국 광역시·도 중에서 유일하게 국립 의대와 국립 대학병원이 없어 지역이란 점 때문에 그간 의대 신설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돼 왔다.
다만 ▲국립공주대와 충남대학교의 통합 ▲내포신도시 종합병원 건립 방식 변경 ▲교육부 의대 신설(정원 배정 확정) ▲탄핵 정국 등 의대 신설에 영향을 줄 사안이 현재진행형으로, 관계기관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남의 경우 국립목포대학교와 국립순천대학교가 지난 1일 의대 설립을 위한 대학 통합 신청서를 교육부에 제출하면서 본격적인 행정절차를 앞두고 있다.
충남 국립의대 신설은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고, 전남 국립의대 신설은 윤 대통령이 지난해 목포에서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직접 신설 의지를 밝히며 가시화 됐다.
충남은 전국 광역시·도 중에서 유일하게 국립의대와 국립 대학병원이 없어 당위성은 이미 충분히 입증한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서남부 지역은 인구 1000명 당 의사 수가 0.87로 전국 최하위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공공병상 비중도 9.7%에 불과한 실정이다.
우선 예정지는 국립공주대 예산캠퍼스로 압축된다. 충남도청 소재 내포신도시(홍성‧예산 일원)에 부지가 마련됐다.
대학은 이달 말 쯤, 최적의 부지와 충남 지역 특성을 반영한 의대 및 병원 설립 방안이 담긴 연구 결과와 함께 서명 명부를 교육부에 전달할 예정이다.
대학 관계자는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의정갈등 등 여러 상황이 녹록치는 않다. 충남 의료 현실상 신설에 대한 필요성 이미 충분하다고 본다”며 “향후 정책 변화가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관계기관과 긴밀하게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