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본회의 임시회서 긴급현안 질의

조철기 도의원(왼쪽)이 5일 오후 도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350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김태흠 충남지사의 공약인 '충남 국립의대 신설'과 관련해 지적을 쏟아냈다. 도의회 제공. 
조철기 도의원(왼쪽)이 5일 오후 도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350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김태흠 충남지사의 공약인 '충남 국립의대 신설'과 관련해 지적을 쏟아냈다. 도의회 제공. 

[내포=디트뉴스 김다소미 기자] 조철기 충남도의원(더불어민주당·아산4)이 5일 김태흠 충남지사의 공약인 ‘충남 지방의대 신설’과 관련해 “진전이 없다”며 박한 평가를 내놨다.

이에 김 지사는 “윤석열 대통령과 두 번의 독대를 통해 강력하게 건의했다. 전임 지사들 중, 이 문제로 대통령에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누가 있느냐”며 “이전보다 여건이 좋아졌다”고 받아쳤다.

두 사람은 이날 오후 도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350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김 지사의 ‘의대 신설 공약’과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따른 의료업계의 반발 등에 상반된 입장을 드러냈다.

먼저 조 의원은 이날 긴급현안 질문을 통해 김 지사에게 “간호법에는 정작 거부권을 행사한 대통령과 정부는 ‘의사 정원 2000명 증원’이라는 계획을 던져놓고 현장의 목소리는 듣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지난 2020년 민주당 정부에서 10여 년간 400명 증원안을 제안했을 때 여당의 반응이 어땠는지를 생각하면, 과연 4년 만에 무슨 사정이 변했는지 의아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한꺼번에 2000명을 늘려 어떻게, 어디서, 누가 교육을 시킬 것인지는 아무런 대책도 없다. 이런 발표는 국민의 관심을 끌기 위한 정치적 목적이 아닌가 하는 의심 말고는 도저히 설명이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지도 않았고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담보로 의사단체를 협박하는 상황이다. 의대 정원 확대에만 매몰하지 말고 지역 의대 신설 등이 논의됐다면 진정성을 인정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충남 서산공군비행장에서 개최한 충청권 첫 민생토론회를 두고도 비판을 이어갔다.

조 의원은 “김 지사는 충남도 재난안전대책본부장의 책무 대신 대통령과의 대화를 택했다. 지난해 열린 의대 신설 범국민추진위 출범식에서 강조한 ‘충남지역 국립의대 신설’이 왜 국가 교육에는 포함되지 않았는지, 그 자리에서 대통령께 말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라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재난안전대책본부는 시스템으로 돌아가는 상황이다. 긴박하지 않다”며 “어떤 주장을 말할때는 자리를 봐서 얘기를 해야한다. 지금 (정부는) 의사 정원수를 늘린다고 하는데, 의사들이 반발하는 상황에서 의대 신설을 논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2000명 증원한다고 해도 학생을 뽑는 건 몇 년이 걸리는 일이다. 당장 의대 신설 해달라고 하는 것보다 그 증원된 학생들을 어떻게 배분을 할지 신중히 검토한다면 우리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김 지사는 “일을 할 때는 전략과 전술이 필요하고 똑같은 말이라도 시점을 정확하게 봐야 한다. 의사수가 부족하다고 하면서 의대 정원은 반대하는 행태가 옹호인지 비판인지 모르겠다”며 “그 문제는 답변하기 곤란하다”고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또 “본회의장에서는 여야 없이,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어떤 방안이 더 효율적이냐를 놓고 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