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채상병 특검은 포퓰리즘..대통령 지킬 것"
국회 입성 못한 원희룡 저격.."民과 전력 차이 생겨"
김태흠 "지금은 정치 경험 풍부한 사람 필요"

김태흠 충남지사와 나경원 의원이 4일 계룡시 예술의전당에서 만나 다가오는 전당대회와 관련해 대화를 나눴다. 연일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비판한 김 지사는 나 의원의 이번 도전에 지지 의사를 내비쳤다. 김다소미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와 나경원 의원이 4일 계룡시 예술의전당에서 만나 다가오는 전당대회와 관련해 대화를 나눴다. 연일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비판한 김 지사는 나 의원의 이번 도전에 지지 의사를 내비쳤다. 김다소미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4일 오전 계룡예술의전당에서 나경원 의원을 만나 한동훈 국민의힘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비판을 이어갔다.

김 지사는 전날 세종에서 최민호 시장과 함께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을 만난 자리에서도 이 같은 소신을 밝힌 바 있다.

나 의원은 ‘채상병 특검법 찬성’ 입장으로 '배신자 프레임'에 갇힌 한 전 위원장과 낙선해 국회에 입성하지 못한 원 전 장관을 겨냥하며 자신이 위기에 빠진 국민의힘을 구원할 적임자임을 강조했다.

나경원 “계속 제 편 해달라”..김태흠 “경험있는 자 필요해”
‘충청 당원’ 표심 강조, 국가 아젠더 미흡 지적

김 지사는 “나 의원이 원내대표에 도전했을 때 열심히 도와줬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와 당대표 경쟁을 할때도 나 의원이 되길 바랐다”며 “당시 이 전 대표가 경험을 쌓길 바랐고, 지금 보면 그 생각이 맞았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이 전 대표가 스스로 대선과 지선 승리를 이끌었다고 하지만 내 생각은 다르다. 당시 서울과 부산 재보궐에서 이미 우리가 압승을 거두면서 문재인 정권에 대한 국민들의 실망감을 노출된 상황이었다. 그의 리더십으로 이긴 게 아니”라고 평가했다.

그는 “지난 2주년 기자회견때 한동훈 전 위원장의 이번 당대표 도전이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정치라는 건 명분이다. 집권여당으로서 좋은 여건에서도 총선을 참패했다면 자숙은 당연한 것”이라며 한 전 위원장에 대한 견제를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한 전 위원장이 우리 당의 미래 자산이 될 수 있지만 지금은 아니다. 시대와 상황에 따라 필요한 인물이 있다. 지금은 한 전 위원장보다 나 의원이나 원 전 장관처럼 정치 경험이 풍부한 사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안타까운 것은 대통령이든 당대표든 TV 트로트 가수 뽑듯이 뽑는 시대다. 거스를 수 없지만 안타까운 (현실인 것은) 사실”이라고 진단했다.

이는 한 전 위원장에 대한 일반 당원들의 호감도가 높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나 의원은 “김 지사와 저는 늘 같은 편이었다. 항상 소신있고 불의를 못 참고 옳은 일에는 본인이 손해여도 늘 앞으로 나아가는 분”이라며 “원내대표 시절, 당이 위기에 처했다며 저를 지지해 주셨다. 지금의 우리당도 위기”라며 구애했다.

이어 “맨날 국회 싸움에 이재명 대표는 앉아있는데 우리 당대표가 못 앉으면 전력에 차이가 생긴다. 그래서 출마를 결심했다”며 원 전 장관을 겨냥했다.

'배신자 프레임'에 갇힌 한 전 위원장과 대립각도 분명히 세웠다. 나 의원은 “어제 (채상병 특검과 관련해) 필리버스터 참석하고 왔다. 우리당 의원들이 설명을 잘했다. 지금 민주당이 말하는 특검이 결국 정쟁이고 목적은 대통령 탄핵이라는 게 너무 잘 드러났다”며 “채상병 특검은 포퓰리즘이다. 민주당의 의도를 반드시 막아 대통령을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한 전 위원장이 특검을 꺼내는 게 아쉽다. 총선 참패 책임이 있으니 뒤로 물러서 지켜보는게 큰 정치 하는 길이다. 집권 여당 대표는 국가의 비전을 보여줘야 한다. 채상병 특검을 띄우면서 거기에 함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재명 방탄 국회로 전락”

나 의원은 “우리가 충청도 민심을 얻지 못하면 절대 승리 못한다. 지금 국회는 정쟁만 하고 있다. 원인은 이재명”이라며 “국회가 할 일을 못하는 건 이재명 대표에 관한 사법적 절차가 지연되면서 발생한 일”이라고 말했다.

이 대목에서 김 지사는 “진짜 답답하다. 100% 동의한다. 이런 부분을 언론이 심도있게 다루지 않는 거 같아 답답하다” 동의했다.

이후 두 사람의 대화는 비공개로 전환됐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