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 83억 원 확정, 소비 취약계층 초점,
온통대전에서 '대전사랑카드' 명칭 변경

대전시 온통대전 가맹점 안내문. 자료사진.
대전시 온통대전 가맹점 안내문. 자료사진.

[한지혜 기자] 대전시 지역화폐 상시 혜택 정책이 폐지된다. 연 5~6회 특정시기에만 월 30만 원 한도로 3%의 캐시백 혜택을 제공하되, 소비 취약계층에 한해 최대 10%까지 캐시백 혜택을 늘리는 방식으로 개편된다. 

김영빈 대전시 경제과학국장은 22일 오전 11시 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3년 지역사랑상품권 개편 방안을 밝혔다.

앞서 이장우 대전시장은 취임 직후 줄곧 온통대전 폐지 정책을 시사해왔다. 다만, 시민들과 지역사회에서는 유지 여론이 우세했고, 국회에서 여야 합의로 올해 예산안에 지역화폐 예산을 포함시키면서 최종적으로 취약계층에 초점을 맞춘 선별 지원 정책을 수립했다.

올해 지역화폐 운영과 관련된 시 국비 배분액은 83억 원이다. 시는 국·시비 매칭 비율, 추가 소요 예산 등을 고려해 시비 208억 원을 추경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다. 지난해 지역화폐 발행액은 1조 8780억 원, 올해 예상 발행 규모는 4000~5000억 원으로 크게 줄어든다.   

‘온통대전’ 지역화폐 명칭은 ‘대전사랑카드’로 바뀐다. 또 상시‧보편적으로 적용해온 캐시백 할인정책도 폐지된다. 0시 축제, 명절, 소비촉진 행사 기간 등 연 5~6회 특정 시기에 운영하되, 월 30만 원 한도로 3% 의 캐시백을 지급하기로 했다.

다만, 소비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 소비 취약계층인 복지대상자 등이 연매출 5억 이하 가맹점에서 사용하는 경우, 10% 캐시백을 지원할 방침이다. 시는 오는 4월 중 소비 취약계층에 속하는 복지대상자 등 추가 혜택 대상자를 확정하기로 했다. 대상자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기초연금수령자 등 약 20만 명으로 추산된다.

대전사랑카드 플랫폼 연계사업으로는 일반 충전금 사용액의 1%를 원하는 동네에 기부하는 ‘동네사랑 기부제 운영’, 착한가격업소 이용 시 이용금액의 5% 적립금을 지원하는 방안 등을 시행한다. 

김영빈 시 경제과학국장은 “대전시 재정여건과 소비 취약계층 혜택 최대화, 지역 소규모 소상공인 보호 등에 초점을 맞춰 개편안을 마련했다”며 “시비 예산 추경 반영, 시스템 개편 등의 절차를 거쳐 가정의 달인 5월부터 발행을 재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