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 전수조사팀, 대전 시내버스 노선투입 965대 추적조사
‘24억원 가치’ 231대 트램 광고 ‘절반 이상’ 실종, 다른 공익광고도 마찬가지

트램 광고가 부착된 대전 시내버스. 본보 전수조사팀이 확보한 약 1000대 시내버스 사진을 활용한 모자이크 이미지. 하단 참고.
트램 광고가 부착된 대전 시내버스. 본보 전수조사팀이 확보한 약 1000대 시내버스 사진을 활용한 모자이크 이미지. 하단 참고.

 

광고대행사 납입료 24억원 할인에 공익광고면 영리활용 ‘이중 혜택’
대전시 공모ㆍ묵인 ‘풀어야 할 숙제’...정보공개요청 허위자료 제시
A업체 B대표, 권선택·허태정 시장 및 지역정치권 실력자와 친분 주장

<연속보도> 시민혈세 24억 원은 ‘눈먼 돈’이었다. 대전시가 시내버스 운영수입 24억원을 포기하면서 확보한 시내버스 외부 공익광고면이 엉뚱하게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본보가 ‘전수조사팀’을 꾸려, 대전시에 운행 중인 시내버스 965대를 추적 조사한 결과다.    

민간광고대행사는 버스조합에 납부해야할 24억 원을 할인받아 금전적 이득을 취했고, 대전시는 권선택 전 대전시장의 지시와 담당 공무원들의 묵인 내지 방조 등으로 공익을 저버렸다. 대전시는 심지어 관련법에 의거한 정보공개청구에 대해 ‘거짓 정보’를 제공하면서까지 사실을 감추기에 급급했다.  

권선택 전 대전시장의 핵심시책이었던 ‘도시철도 2호선 트램’이 중요한 매개였다. 앞서 보도한 것처럼 권선택 전 시장은 트램 홍보를 위해 시내버스 광고면을 활용하라는 지시를 내리고, 주무부서인 버스정책과는 버스조합을 통해 시내버스 231대의 광고면을 확보했다. 그리고 조합은 이를 빌미로 민간광고대행사가 납부해야할 매체사용료 24억 원을 할인해 주는 재계약을 체결한다. 모두 2016년 상반기에 벌어진 일이다. 

결론적으로 이 같은 행위는 모두 ‘특혜 제공’을 위한 요식행위였다. 본보 ‘전수조사팀’이 시내버스 노선번호와 차량번호, 광고면을 한 컷의 사진에 동시에 담는 방식으로 확인한 결과, 트램 광고가 부착된 대전 시내버스는 100대에도 미치지 못했다. 57대에 부착되어 있어야 할 ‘버스전용차로 준수’ 공익광고는 20대가 안되고, 30대에 부착되어 있어야 할 ‘승용차 요일제’ 공익광고는 채 10대도 발견되지 않았다. 공익 광고면이 절반도 채워지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대전시는 ‘시내버스 공익광고 현황’을 공개해 달라는 본보 정보공개청구 요청에 대해 2016년 8월부터 현재까지 트램광고 231대, 2016년 9월부터 현재까지 버스전용차로 준수 광고 57대, 2016년 9월부터 현재까지 적십자사 헌혈 홍보캠페인 40대, 2016년 11월부터 현재까지 승용차요일제 광고 30대 등을 운영하고 있다는 자료를 제시한 바 있다. 2018년 8월 현재 시내버스 358대에 공익광고가 붙어 있다는 뜻으로, 대전시가 제시한 자료대로라면 지나가는 버스 3대 중 1대 꼴로 공익광고가 부착돼 있어야 한다.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광고내용과 해당 시내버스의 차량번호까지 함께 공개해 달라’고 대전시에 요청했으나, 시는 “차량번호가 없다”는 답을 해왔다. 시내버스 적자보전을 위해 한 해에만 500억 원 이상을 투입하는 대전시가 실태파악을 단 한 차례도 하지 않을 정도로 무능했거나, 무언가 감추기 위해 거짓정보를 제공했다는 의미다. (아래 사진 참고) 

 

대전시가 본보 정보공개 청구요청에 대해 답변한 내용. 한해 500억 원 이상을 시내버스 적자보전금으로 사용하는 대전시가 버스 차량번호가 없다며 '정보 부존재'를 주장했다. (적색 박스 참고)
대전시가 본보 정보공개 청구요청에 대해 답변한 내용. 한해 500억 원 이상을 시내버스 적자보전금으로 사용하는 대전시가 버스 차량번호가 없다며 '정보 부존재'를 주장했다. (적색 박스 참고)

더욱 놀라운 사실은 대전에서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둔산동 일대에서 ‘시내버스 트램광고’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이다. ‘트램 광고’는 장태산이나 대청댐 인근 대전의 오지를 순환하는 21번, 34번, 63번, 72번 등 29개 ‘외곽노선’에 집중적으로 부착됐다. 눈에 잘 띄지 않는 시골길만 달리는 ‘트램 광고’다. 

그 밖에 대전역 등 원도심 권역에서 도시 외곽지역을 오가는 102번, 200번, 314번, 615번 등 버스에 간헐적으로 ‘트램 광고’가 부착돼 있다. 노출효과가 떨어져 상업광고의 가치가 없는 버스들이라는 것이 지역 광고업계 관계자들의 일관된 전언이다. 

시내버스 광고대행을 맡은 A업체가 대전시 공익광고면을 침해해 상업적으로 활용했는지는 조금 더 면밀하게 실태파악을 해야 할 대목이다. “2016년 8월 시점부터 231대 시내버스에 트램 광고를 부착하지 않았다”는 것이 광고업계 전언이지만, 처음엔 231대에 광고를 붙였다가 어떤 시점에 떼어 낸 것인지 등은 행정·사법기관이 명확한 근거자료를 살펴봐야만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다. 

정확한 계약내용에 대해서는 대전시나 버스조합 모두 함구하고 있다. 계약당사자인 A업체 B대표 역시 본보 인터뷰에서 “계약서를 직접 확인한 적이 없다”고 이야기한 바 있다. 

본보는 이번 시내버스 전수조사 결과에 대한 A업체 B대표의 해명을 듣기 위해 ‘트램 광고가 절반도 붙어있지 않았다’는 결과를 알렸으나 “그렇지 않다(사실과 다르다)”고만 응수했다. ‘사진촬영 방식으로 조사했다’는 사실을 알리자, B대표는 “모든 대화는 변호사와 나누라”며 더 이상의 해명은 거부했다. 

B대표 측 C변호사는 “고소사건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사건을 진행하면서 사실관계를 규명해봐야 한다”는 원론적 입장을 밝혔다. 

대전시 관계자들은 본보 전수조사 결과에 대해 명쾌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일단 양승찬 교통건설국장은 “실무진이 (시내버스 광고제도) 대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들었다”며 “다만, (과거의 일에 대해)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행정적, 법적으로 어떻게 바로잡을 수 있는지는 검토해 보겠다”고 말했다.   

실무책임자인 이병응 버스정책과장은 “처음 듣는 이야기”라며 전수조사 결과에 대해 당혹감을 표현했다. 이 과장은 “시가 공익광고 시안을 버스조합에 넘겨만 주지, 몇 대에 부착하라고 지시하지는 않는다. 조합으로부터 몇 대 붙였다는 통보를 받고 그렇게 부착돼 있는 줄로만 알았다”며 “(디트뉴스 전수조사 결과) 실상이 그렇다면 추가 정산이 가능한지 확인하고, 행정적 법적으로 취할 수 있는 방안이 있는지 찾아보겠다”고 해명했다. 

한편, A업체 B대표는 2015년 12월 실시된 대전지역 시내버스 외부광고업체 선정을 위한 경쟁입찰에서 100억 100만 원에 응찰해 사업권을 수주했으나, 7개월 뒤 납입료 24억 원을 할인 받았다. 당시 대전시가 최대 시책인 트램사업 홍보를 위해 231대 시내버스 광고면 확보에 나서면서 재계약이 체결됐기 때문이다. 
   
B대표와 권선택·허태정 전·현직 대전시장과의 친분관계 때문에 전직 시장이 특혜를 주고, 현직 시장이 진상규명에 미온적인 것 아니냐는 의혹도 일고 있다. 현재 대전지역 정치권의 여권 유력인사 일부는 과거 B대표가 운영해 온 A광고대행사에 직접 소속되거나 조력하는 등 끈끈한 인연을 맺어 왔다는 것도 B대표 스스로 밝히고 있는 내용이다. (후속 기사에 계속. 전수조사팀 - 김재중, 지상현, 이지수, 박성원 기자)

전수조사 사진을 활용해 재구성한 시내버스 모자이크 이미지. 하단 동일.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