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연과 지연, 선거 계산이 만든 인사 난맥상
전희경 충남연구원장이 경기 의정부갑 당협위원장을 겸직해 논란이다. 충남 정책을 책임져야 할 연구원장이 정작 충남이 아닌 다른 지역 정치적 이해관계에 발을 담궜기 때문이다. 지난 총선 낙선 이후 정치적 입지가 좁아진 그에게 연구원장직이 재기의 발판으로 제공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그러나 이번 사안은 개인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질은 김태흠 지사의 인사 스타일에 있다. 김 지사는 집권 이후 줄곧 'K.B.S 인사'를 고집해 왔다. 공주고·보령·서천 출신 인맥을 중심으로 한 학연·지연 우선 인사다. 충남 도정의 요직을 충남 전체가 아닌 특정 인맥의 영역으로 축소시켰다.
전 원장 인사는 예고된 실패였다. 과거 논문 표절 의혹 논란, 특정 정파에 기운 편향적 행보, 박사급 연구진을 이끌기엔 부족한 학사 출신 경력까지, 곳곳에서 반대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그럼에도 김 지사는 인사청문회를 통과했다는 이유만으로 임명을 강행했다. "법적으로 문제 없다"는 주장도 폈다. 결과는 예상 그대로였다. 연구원은 정책 연구보다 원장의 정치적 행보로 세간의 도마 위에 올랐다.
문제는 전 원장에 그치지 않는다. 장기승 충남역사문화연구원장 사례도 심각하다. 성차별 발언, 동료 의원 폭행,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 상실 등 과거의 행적만으로도 원장직과 거리가 멀다. 그럼에도 김 지사는 위험을 무릅쓰고 그를 기용했다.
이쯤 되면 의문은 분명해진다. 왜 이런 인사를 감수하는가. 답은 역시 패거리 정치에서 찾을 수 밖에 없다. 전문성과 능력검증은 사라지고 오로지 충성과 코드만 중시된 모습이다.
민주당 공천에서 떨어진 천안 출신을 보좌관으로 앉히거나, 자신의 측근을 천안·아산 인맥 관리를 위해 배치한 것은 선거 대비 차원이다. 도정보다 선거, 정책보다 정치가 우선하는 인사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충남은 개인의 정치 실험장이 아니다. 연구기관과 문화기관은 권력의 전리품이 될 수 없다. 지금의 인사 난맥상은 충남의 미래를 갉아먹고 있다. 전문성은 무너지고, 공직사회의 사기는 추락했다. 권력자의 학연과 지연, 선거 계산이 만든 인사는 도민 신뢰를 저버렸다.
인사는 곧 메시지다. 김 지사가 던진 메시지는 도민보다 권력, 충남보다 선거다. 민선 8기에 드러난 잇단 인사 실패는 도민의 눈에 똑똑히 각인되고 있다. 충남의 미래는 결코 이런 방식 위에 세워질 수 없다.
관련기사
- 장기승·전희경 잇따른 ‘정치 중립 위반’ 논란…김태흠 “사과 못해”
- 충청 與, 단체장 잇단 비판 "끝내 비는 오지 않았다"
- 전희경 충남연구원장, 시장·군수 연이어 만나 현안 공유
- ‘뉴라이트·학위반납’ 해명한 전희경, 청문회 ‘적격’ 결론
- ‘충청 뿌리’ 강조한 전희경, 충남연구원장 내정 규탄 나선 民
- ‘뉴라이트 여전사’ 전희경, 충남연구원장 내정..청문회 ‘주목’
- '처녀 발언' 장기승 내정···충남 시민사회 “상식 반하는 인사”
- ‘처녀 발언’ 장기승 전 의원, 역사문화연구원장 내정?
- ‘충남도 정책특보 105명 위촉’ 뒷말 나오는 이유
- “법보다 민심”…박정현 부여군수, 김태흠 지사 겨냥 품격있는 충언
- 김태흠·이장우 ‘극우 인큐베이터’ 역할..충청이 무너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