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점] 시·도민 혈세로 극우·보수 배후기지 세우는 단체장들

자료사진.
자료사진.

대전과 충남 지방정부가 ‘극우 인큐베이터(incubator)’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고 있다. 시·도민 혈세가 공정한 기준 없이 극우·보수 정치 성향을 가진 매체와 인사, 단체로 흘러간 정황은 지방권력의 사유화 민낯을 여실히 보여준다. 

대전판 리박스쿨 사태, 교육사업마저 정치 편향

대전에서는 '대전판 리박스쿨, 넥스트클럽' 사태로 논란이 끊이질 않는다. 시가 지원한 청소년 교육 프로그램이 사실상 특정 정치 성향 단체와 연계·운영되면서 시민사회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시민사회에선 “세금을 투입한 교육사업이 특정 정치 이념 홍보에 활용됐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이 사건은 대전시가 정책보다는 정치적 성향과 결합한 사업 집행에 치중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전시가 청소년 관련 위수탁 사업을 극우·보수 성향 단체에 맡기면서, 사실상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충남도 인사 편중, 정치 재기용 배치

충남도 인사 편중 사례도 마찬가지다. 지난 총선에서 낙선한 전희경 전 의원을 충남연구원장에, 논란이 많았던 장기승 전 아산시의원을 충남역사문화연구원장에 임명하며 이들의 정치 재기를 돕는 모습이다. 

전희경 전 의원은 '보수의 잔다르크'라고 불릴만큼, 강경보수로 통하는 인사다. 김태흠 지사는 연구 전문성이 요구되는 충남연구원장 자리에 정치적 코드인사를 단행하면서 시민사회와 지역 진보언론 등으로부터 비판받고 있지만, 전혀 개의치 않는 모습이다.  

김 지사는 또 윤석열 대통령실 행정관 출신을 도 보좌관으로 채용하는 등 퇴각중인 극우·보수의 배후기지 역할을 자임하고 있다. 이런 인사 편중은 도정이 특정 정치 성향의 영향력 강화와 개인 정치 재기를 위한 도구로 변질됐음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본질은 극우·보수 인큐베이터 역할이다. 

극우·보수 매체에 흘러간 혈세

대전과 충남의 홍보예산 집행 과정 역시 문제로 지적된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가 취임 이후 대표적 보수종편인 <TV조선>에 약 10억원대 홍보예산을 몰아줬다는 사실을 <디트뉴스24>가 단독보도한 바 있다. 

충남도 경우 극우·보수 성향 매체에 대한 광고 집행은 민선 7기 대비 최소 3배에서 많게는 9배까지 급증했다. 보수성향 언론뿐 아니라, 선정적 가짜뉴스를 보도한 극우 매체까지 지원 대상이었다. 물론 대전시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충남도는 홍보예산 집행 기준을 묻는 <디트뉴스24> 질의에 “언론 매체 종류와 파급력, 광고기간 및 횟수, 게재면, 출입기자 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답변했다. 원론적 수준의 답변이다. 집행 기준 어디를 살펴봐도, 대전시와 충남도가 보수종편 <TV조선>에 예산규모 대비 전국 1·2위 홍보예산을 지급한 이유를 찾기 어렵다.  <스카이데일리> 지원 등을 포함하면 역시 '극우·보수 인큐베이터라는 점만 확인될 따름이다.

정치 성향과 행정 운영의 불신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난 3월 세종에서 열린 세이브코리아 주최 집회 연단에 올라 참석자들에게 인사를 건네는 모습. 디트뉴스DB. 

김태흠 충남지사와 이장우 대전시장은 12·3비상계엄과 탄핵정국에서 위헌·위법적 비상계엄을 옹호하고, 극우단체 ‘세이브코리아’가 주최한 집회에 모습을 드러내는 등 극우 성향을 강하게 드러냈다. 단체장의 이런 성향이 시·도정에 녹아들며 행정이 극우·보수를 지원하고 키우는 데 혈세를 투입하고 있는 모습이다. 

박근혜 정부에서 소위 ‘돌격대장’으로 불렸던 이장우 시장과 김태흠 지사. 윤석열과 친분을 앞세워 ‘일류경제도시 대전’, ‘힘센(쎈) 충남’ 슬로건을 내건지 3년째다. 지금 대전과 충남 지역사회는 이들이 이끈 시·도정이 과연 지역의 미래와 지역민 행복을 위한 것이었는지 강한 의문을 품고 있다. 

‘극우 인큐베이터’ 논란은 이장우·김태흠 시·도정 3년에 또 하나의 물음표를 남기고 있다. 단순한 예산 편성이나 인사 문제가 아니라 시·도정 전반의 공정성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있다는 점에서 파장이 크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