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남동발전·삼성물산과 ‘그린 에너지 허브’ 조성 협약
2032년까지 송산에 수소 발전·BESS·데이터센터 등 구축
연료 수소 비율 100%까지 높여 ‘RE100’ 실현 가능 전망
충남 당진에 4조 5000억 원 규모의 국내 첫 수소 전소 발전단지 건설이 추진된다.
수소 혼소 발전은 LNG(액화천연가스)를 연료로 전기를 발생시키던 기존 가스터빈을 개조해 LNG와 수소를 섞어 발전하는데 수소 비율을 100%까지 높이면 수소 전소라고 부른다.
전소 발전은 사용 전력이 모두 청정에너지로 생산돼 ‘기후악당’이나 ‘전기 먹는 하마’라는 오명을 벗고 ‘RE100’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국내에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 등은 있지만, 청정수소를 연료로 해 전력을 생산하는 수소 전소 발전소는 최초다.
이 발전소는 대규모 에너지 저장 장치(BESS), 데이터센터 등과 함께 2032년까지 건립할 계획이다.
김태흠 지사와 오성환 당진시장은 26일 도청 상황실에서 강기윤 한국남동발전 사장, 이병수 삼성물산 부사장과 ‘당진 그린 에너지 허브’ 성공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당진시 송산면 가곡리 일원 43만 6400㎡ 부지에 조성할 당진 그린 에너지 허브는 900㎿급(300㎿ 3기) 수소 전소 발전소와 300㎿급 BESS(100㎿ 3기), 데이터센터 등으로 구성된다.
청정수소 연료 사용 전소 발전소는 최초
무탄소로 전력 생산, 데이터센터·산단에 공급
당진 송산터미널에서 청정수소를 공급받아 무탄소로 전력을 생산하는 수소 전소 발전소와 태양광 발전에서 생산한 신재생 에너지를 저장한 BESS는인근 데이터센터와 산단에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다.
당진 그린 에너지 허브 구축에 투입 예정 사업비는 수소 전소 발전소 2조 4000억 원, BESS 9000억 원, 데이터센터 1조 2000억 원 등 총 4조 5000억 원이다.
이번 협약은 무탄소 전원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조성하는 당진 그린 에너지 허브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맺었다.
남동발전과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사업 개발 및 연료 공급, 발전소 설계·조달·시공(EPC) 및 운영, 수요 개발, 재원 조달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도는 이번 당진 그린 에너지 허브가 동일 단지 내에서 청정에너지를 생산하고 저장·활용하는 의미가 있을뿐 아니라, 정부의 대규모 데이터센터 구축 계획에 대응하는 최적의 입지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32년까지 국내에 1200개 이상의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청정 발전으로 에너지 전환 가속화
핵심 데이터센터 집적단지 구축 토대
도는 이와 함께 △동일 규모의 LNG 복합발전 대비 연간 탄소 배출량 1000만 톤 감축 △화력발전 중심 전력산업 무탄소 전환 견인 △RE100 이행 지원을 통한 국가 간 무역장벽 해소 및 기업 수출 경쟁력 제고 등의 효과도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당진 그린 에너지 허브는 추후 수소 전소 발전소 대형화, 수소 유통 거점 조성, 단지 내 풍부한 전략과 ICT 기술·열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이 자리에서 김태흠 지사는 “당진 그린 에너지 허브는 충남이 수소경제와 디지털 경제를 선도해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발판”이라며 “그린수소를 활용한 청정 무탄소 수소 발전단지로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 하고, 청정 전력 공급을 통해 디지털 경제의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센터 집적단지를 구축하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또 “인근 산단 기업들에 청정에너지를 공급해 RE100을 달성하고, 탄소국경세 대응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당진 그린 에너지 허브가 충남의 그린수소 시대를 열어주고, AI 산업을 발전시키는 전초기지가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오성환 시장 "수소생태계 구축의 출발점"
석탄화력의 단계적 폐쇄를 앞두고 있는 당진시도 이번 그린 에너지 허브 구축에 대해 큰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충남도 내 석탄화력발전소 29기(전국 60기의 48%) 중 10기의 발전기를 가동 중인 당진화력은 제10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2029년 1·2호기를 시작으로, 2030년 3·4호기, 2036년 5·6호기 등을 순차적으로 폐쇄할 방침이다.
당진시는 이에 대응해 수소도시(충남 최초), 수소암모니아 부두 협약체결(전국 최초 탄소중립 항만), 수소교통 복합기지, 탄소포집형 수소생산기지(2025년) 등을 추진 중이다. 지난달에는 환경부와 국토교통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탄소중립 선도도시(Net-Zero City)’에 선정되기도 했다.
오성환 당진시장은 “당진이 에너지 전환 및 기후변화 대응을 선도하는 수소생태계 구축을 위한 새로운 출발점에 섰다”며 “당진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지속 가능한 그린수소 산업 생태계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그린이냐 블루냐’ 수소경제 전환 시도 충남, 갈 길 멀다
- 대전 평촌산단 수소발전 무산, 전력자급 '제자리 걸음'
- OECD, 충남 ‘석탄화력발전소 폐지 지원’ 주목..정치권 후속 대응 시급
- 김태흠 "한국 가장 큰 기후위기 문제는 화석연료"
- 대전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설립, 전력자립도 높인다
- (기획특집) 당진시가 대한민국 수소경제를 이끈다
- 서부발전, 탄소중립시대 선도한다
- 당진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구축
- 세계 첫 수소발전소 준공..“충남 수소경제 선도”
- 동서발전-현대차-덕양, 수소연료전지 확대 업무협약
- 인구 17만 당진시, 143만 대전시가 부러워한다
- 충남도 온실가스 직접배출 최대...기초 1위 당진시 원인
- 당진화력 22년 일한 청소노동자 진폐증 확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