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 포럼 통해 탄소중립 지속추진
충남 당진시가 ‘2021 당진시 수소경제 포럼’을 통해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구축했다.
26일 시청 당진홀에서 열린 포럼은 당진시와 당진시개발위원회가 주최하고 충남연구원이 주관했다.
시의 수소경제 활성화 전략 로드맵 수립과 정책제안을 위해 마련된 이번 포럼의 첫 발제를 맡은 충남연구원 김양중 박사는 당진시 경제지표 분석을 통한 당진시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1차 금속 제조업이 집중된 산업 구조로 인해 당진시는 다른 충남의 시·군보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컸다고 지적하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수소 산업을 비롯한 메가 프로젝트와 신경제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민정 충남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장은 당진시와 충남연구원이 연계협력 사업으로 수행 중인 ’당진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구축 연구‘의 진행 계획과 수소경제 로드맵 수립 계획안을 소개했다.
이어 수소경제 활성화 관련 정책제안 세션이 진행됐다.
국가수소경제위원회 위원인 김승완 충남대 교수는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당진 맞춤형 수소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이 자리에서 “당진시는 청정수소를 직접 생산하거나 해외조달 등을 통해 지역의 소비수요를 충족하는 수도산업 선도도시”라며, 국내에서 몇 안 되는, 수소산업 여건이 뛰어난 지자체로 꼽았다.
이석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청정기술연구소장은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부품개발 지원 플랫폼’에 대한 운영방향에 대해 글로벌 수준의 부품 기술력 확보와 수소산업 지역경쟁력 강화 지원, 수요자 참여 R&D 생태계 조성 등 3가지를 중점 추진전략으로 제시했다.
충남테크노파크 김영수 선임연구원은 수소사회 구축을 위한 중앙정부의 동향을 밝혔다.
그는 2030년까지 총43조원 규모의 수소경제 분야에 대한 민간 투자계획과 연계해 ▲청정수소 인증제 ▲청정수소발전의무화 제도 입법 추진 등 정부의 지원 방안을 소개한 뒤 당진시에 적합한 사업으로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그린수소 국산화 부품 실증 단지 사업’ ▲동서발전 CCS 기술 및 제5LNG기지 연계 사업 ▲액화수소 출하센터 조성 등을 제안했다.
백영순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장은 당진시의 수소산업 방향으로 ▲제5LNG기지의 냉열 에너지를 냉동 창고에 활용하는 방안 ▲유출 천연가스를 수소로 만들어 연료전지에 공급,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 등을 소개했다.
포럼에 참석한 김홍장 시장은 “미래경제의 핵심이자 새로운 성장 동력이 수소경제”라며 “오늘 포럼에서 제시된 소중한 의견을 잘 담아 당진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했다.
한편 당진시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 된 이날 포럼에는 시민사회단체 외 충남도청,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농어촌공사, 충남산학융합원, 한국동서발전, 환영철강공업 등 관련 기관과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해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선언으로 수소 산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