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관순·김좌진·한용운·윤봉길·이동녕 등 충남 독립운동 정신 계승”
미서훈 독립운동가 발굴, 독립운동가 학술연구·기념사업 확대 강조
충남도의회 안장헌 의원(아산5·더불어민주당)은 10일 제355회 임시회 4차 본회의 5분 발언에서 ‘충남의 미서훈 독립운동가 발굴 사업’에 도가 앞장설 것을 촉구했다.
안 의원은 “최근 주요 정부 인사의 왜곡된 역사인식으로 인해 도민이 피로를 넘어 절망을 느끼고 있다”며 “‘뉴라이트’ 교과서 논란까지 발생하며 교묘한 친일 역사관 주입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충남은 유관순 열사, 김좌진 장군, 만해 한용운, 윤봉길 의사, 석오 이동녕 선생 등 수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곳으로 전국 지자체 중 두 번째로 많은 1757명의 독립유공자를 보유하고 있다”며 “충남의 독립운동 정신을 이어가기 위해 ‘충남 도민 모두 함께 독립운동 역사 배우기’, ‘미서훈 독립운동가 추가 발굴 사업 지원’, ‘독립운동가 학술연구 및 기념사업 활성화’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미서훈 독립운동가 발굴의 경우 시군비로 사업이 추진되다 보니 독립운동가의 본적이 ‘충남’으로만 표기된 사례는 시군 사업에서 누락돼 서훈 신청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미서훈 독립운동가 발굴사업은 반드시 충남에서 주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충남역사문화연구원에 따르면 충남은 전국 지자체 중 경북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독립유공자를 보유하고 있고, 전국 독립유공자 중 9.69%를 차지한다.
안 의원은 “역사를 잊은 충남에게 미래는 없다”며 “충절의 고장 충남의 독립운동사를 후대가 자랑스럽게 기억할 수 있도록 충남도가 앞장서 독립운동 교육과 숨은 독립운동가 발굴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전국 지자체별 독립유공자 현황(2024년 9월 기준)>
|
순위 |
시도 |
독립유공자 수 |
비율(전국 18,139명) |
|
1 |
경북 |
2,507명 |
13.82% |
|
2 |
충남 |
1,757명 |
9.69% |
|
3 |
경기 |
1,522명 |
8.39% |
|
4 |
전남 |
1,521명 |
8.39% |
|
5 |
경남 |
1,451명 |
8.00% |
|
자료: 충남역사문화연구원 |
|||
<시군별 미서훈 독립운동가 발굴사업 현황(2024년 9월 기준·시군비 투입)>
|
수행 년도 |
예산 (단위:천원) |
발굴 시군 |
발굴 대상 |
서훈 신청 |
서훈 확정 (2024.8.30.) |
비고 |
|
2020 |
57,950 |
부여,예산 |
565명 |
319명 |
74명 |
공주시·충남대 |
|
2021 |
36,900 |
서산,천안 |
997명 |
409명 |
43명 |
|
|
2022 |
18,000 |
아산 |
277명 |
183명 |
40명 |
|
|
2023 |
37,400 |
홍성,논산 |
672명 |
550명 |
12명 |
|
|
2024 |
13,950 |
청양군 |
340명 |
- |
- |
현재 수행중 |
|
합계 |
164,200 |
|
2,851명 |
1,461명 |
169명 |
|
|
자료: 충남역사문화연구원 |
||||||
관련기사
- '김형석·뉴라이트·반국가세력'..해명에 진땀 뺀 尹
- 尹 정부서 사라지는 ‘독도’..“日에 상납할 셈인가”
- “반노동·반인권 김문수, 노동부장관 자격없어” 대전서도 규탄
-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 즉각 철회해야"
- 민주당 대전시당 "尹, 친일역사 쿠데타 중단" 촉구
- [현장]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 결국 쪼개진 광복절..尹 대통령 향한 잇단 ‘성토’
- "윤 정부, 부끄럽고 참담" 성토장 된 홍범도장군 귀환 3주년
- [칼럼] 친일 독립관장 논란에 충청이 가장 분노하는 이유
- 김태흠 충남지사, 광복절 기념행사서 ‘독립기념관장’ 논란 입장 밝힐까
- 8월 15일, ‘광복’의 기쁨 대신 ‘뉴라이트’ 향한 분노만
- 충남도의회, 공동체활동 및 마을교육 활성화 방안 모색
- 안장헌 충남도의원 “필수농자재 지원 확대해야”
- “엘리베이터 없는 경로당, 그림의 떡”
- 충남도의회 “충남 반도체‧모빌리티‧바이오 투자 활성화 해야”
- 안장헌 도의원, 충남사회적경제연대로부터 감사패 받아
- 안장헌 의원 “청소년 디지털 폭력 증가 불구 예산은 감소"
- 안장헌 의원, 2024 전국 친환경 최우수 의원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