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지천댐, 강원도 양구 이어 두번째로 큰 규모
댐 건설 3차례 무산.."물 부족 직면" 시급성 강조
환경부가 30일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을 발표한 가운데 청양 지천이 다목적 댐 후보지로 포함됐다.
충남도는 31일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도 인근 지역 주민 반발에는 ‘피해 최소화’에 초점을 맞추고 ‘최대한의 지원’을 약속했다.
청양 지천댐은 강원도 양구에 이어 환경부가 발표한 댐 건설 후보지 중 두 번째로 큰 규모다. 환경부는 내달 중 주민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며, 충남도는 수몰지역 139 가구가 이주 대상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형식 도 정부무지사는 이날 오전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청양 지천댐의 당위성을 재차 강조했다.
전 부지사는 “청양 지천댐은 지난 91년, 99년, 2012년 3차례에 걸쳐 댐 건설이 추진됐지만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등 상류지역 규제문제 등으로 추진이 무산됐다”며 “이후 지속적으로 충남은 물 부족 문제와 홍수 피해에 직면해왔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청양은 하루 1만 2000톤의 용수를 사용하는데 대부분 보령댐과 대청댐에 의존하고 있다. 자체 수원은 2천 톤에 불과한 상황”이라며 “용수가 부족해 기업 유치는 물론 확장도 어려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전 부지사는 “이런 상황에서 댐 건설은 우리 지역의 물 자원 관리 및 안정적 물 공급에 있어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다.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도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또 “지역 주민 불편이 없도록 주민 소통을 강화하고 의견을 적극 수렴할 것”이라며 “댐 내 취수구 미설치를 통한 상수원보호구역 미지정 등으로 생활 불편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환경부는 댐 주변지역 주민지원 예산을 대폭 상향하는 안을 발표했는데, 충남은 댐 건설 지역인 청양과 인근 부여의 의견을 수렴해 상하수도, 도로확포장, 생태공원 등에 필요한 국도비 지원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전 부지사는 “추가 재원 마련을 위해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력하겠다. 환경보전을 위해 환경영향평가 시 주민 참여를 독려하고 투명하게 정보를 공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주민 반발 속 ‘청양 지천댐’ 환경부 신규 댐 후보지로 선정
- 충남 국회의원들 "가뭄대책 내놔라" 道 압박
- 청양 댐 후보지 선정에 민심 양분···부여도 반발 기류
- ‘청양 지천댐’ 극한 대립···김태흠 “반드시 필요” vs 반대위 “당장 철회”
- [청양 지천댐] “지역발전 마지막 기회”···수몰 대상지 일부 주민들 첫 공식 입장
- [청양 지천댐] 청양군의회 ‘댐 건설’ 반대 성명 이어 결의문 만장일치 채택
- [청양 지천댐] 아수라장 된 ‘도민과의 대화’..욕설·고성 난무
- 김돈곤 군수 "지천댐 건설 찬성할수 없어"
- 충남도 "김돈곤 군수 지천댐 건설 반대 유감"
- 청양 지천댐 지역 정비 예산 350억 원→770억 원으로 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