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 지사·성일종 의원 잇따라 선회 시사
가로림만 해상교량이 해저터널로 바뀔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0년 이상 충남도와 태안군이 노력해왔지만, 예비타당성 통과나 면제가 묘연한데다 환경문제까지 대두되면서 수정이 불가피해 보이기 때문이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지난 11일 가로림만 연륙교 건설과 관련해 “해상 교량을 가설할 경우, 환경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생긴다고 하면 보령 대천해수욕장에서 원산도까지 해저로 간다든가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며 사업 방식 변경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날은 김 지사가 가로림만 국가해양생태정원 예비타당성재조사 탈락에 따른 향후 가로림만 발전종합계획을 설명하는 자리였다.
이번 국가해양생태정원 타당성 조사에서 분과위원 일부가 ‘가로림만 보전과 활용 정책이 모호하다'며 부정적 의견을 제시, 결국 타당성 결여로 판가름이 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관, 관찰관 건립 등 도가 구상한 사업 중 상당 부분이 생태보전과 거리가 있다고 판단한 것.
기재부 판단과 별개로 김 지사가 이날 해저터널을 언급한 데는 가로림만 연륙교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에 일정 부분 공감하고 있음을 드러낸 것이다.
앞서 이곳을 지역구로 둔 성일종 의원(국민의힘)도 지난 3월 총선을 앞두고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지금까지 이 해상공간을 연결하기 위해 주로 연륙교 위주로 검토해왔지만, 이미 태안 안면도에서 보령까지 해저터널을 건설한 경험이 있으므로 이 방안도 함께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해저터널은 교량보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뿐만 아니라 건설비용도 상대적으로 적게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비를 낮추면 예타 통과 가능성은 높일 수 있어 김 지사와 성 의원에겐 해상터널이 다른 선택지가 될 수 있다.
10년 전 사업 협의 과정에서 기획재정부 차관도 당시 송석두 충남도 부지사에게 “가로림만 연륙교가 아닌 해저터널이 어떤가”라고 권유한 바 있다.
가로림만 연륙교(해상교량) 건설은 국도38호선 서쪽 끝단인 태안군 이원면 내리 만대항에서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를 잇는 다리 2.67㎞와 접속도로 2.62㎞로 잇는 사업이다.
예상 총사업비는 1929억 원으로 한 차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지 못한 뒤 태안군은 예타 면제사업 신청을 요구하고 있지만, 김 지사가 부정적 입장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