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년 간 대한민국 탄소중립 선도
존스위니 영국 스코틀랜드 제2장관과 함께 활동
'석탄화력폐지특별법' 대응책 '주목'

지난해 유럽에서 열린 지방정부 기후행동 정상회의 모습. '탄소중립경제특별도'를 선언한 김태흠 충남지사가 기후위기 대응 국제 기구인 언더2연합 공동의장에 재당선됐다. 충남도 제공. 
지난해 유럽에서 열린 지방정부 기후행동 정상회의 모습. '탄소중립경제특별도'를 선언한 김태흠 충남지사가 기후위기 대응 국제 기구인 언더2연합 공동의장에 재당선됐다. 충남도 제공. 

김태흠 충남지사가 언더2연합(Under2 Coalition) 2024~2026년 아시아·태평양(아태) 지역 공동의장에 재당선 됐다.

김 지사의 재당선은 지난 2년 동안 대한민국 탄소중립을 선도하며 글로벌 기후행동 확산에 기여해 온 공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탄소중립경제특별도를 선언한 충남의 ‘탄소중립 글로벌 리더십’이 인정받은 셈.

지난해 12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에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초청받아 미국 뉴욕시장, 프랑스 파리시장, 일본 도쿄도지사 등 세계를 대표하는 12개 지방정부 정상과 함께 참석한 바 있다.

27일 도에 따르면 언더2연합은 기후위기 대응 국제 기구로, 세계 44개국, 193개 중앙·지방정부가 가입해 활동하고 있다.

공동의장은 아태 지역, 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등 대륙별 4개 지역으로 구분해 선출하며 임기는 2년이다.

김 지사가 지난해 유엔총회에 참석한 모습. 특히 현안인 '석탄화력발전소 폐지 특별법'과 관련해 국제사회의 목소리가 더해지면서 속도를 낼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충남도 제공. 
김 지사가 지난해 유엔총회에 참석한 모습. 특히 현안인 '석탄화력발전소 폐지 특별법'과 관련해 국제사회의 목소리가 더해지면서 속도를 낼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충남도 제공. 

김 지사와 함께 언더2연합을 이끌 공동의장은 ▲유럽 존스위니 영국 스코틀랜드 제2장관(행정수반) ▲아메리카 마우리시오 쿠리 곤잘레스 멕시코 케레타주 주지사 ▲아프리카 앨런 윈드 남아프리카공화국 웨스턴케이프주 총리 등이다.

이번 공동의장은 2022~2024년 공동의장 임기가 이달 종료됨에 따라 지난 4월부터 새롭게 구성됐다. 도는 지난달 김 지사의 아태 지역 공동의장으로서의 활동 성과를 바탕으로 의장 선거 참여 의향서를 제출했다.

언더2연합 사무국은 회원 의겸 수렴과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운영조직 의결을 거쳐 4개 대륙 공동의장을 확정했다.

김 지사는 2022년 9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언더2연합 총회에 참석, 세계 기후 리더들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 및 탄소중립 전략을 논의한 바 있다.

개발도상국의 탄소중립을 위한 재정 지원을 선도적으로 제안하는 등 국제 기후 협력 기반을 확대했다.

지난해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에서 기후위기 분야에서 공신력을 인정받는 마이클 블룸버그 특사(왼쪽)와 김 지사(오른쪽)가 대화를 나누는 모습. 이날 블룸버그 특사는 '석탄화력발전소 폐지 특별법'과 탈석탄 에너지 전환 추진 등의 내용을 담은 충남도의 '정의로운 전환'에 적극 지지 의사를 밝혔다. 충남도 제공.
지난해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에서 기후위기 분야에서 공신력을 인정받는 마이클 블룸버그 특사(왼쪽)와 김 지사(오른쪽)가 대화를 나누는 모습. 이날 블룸버그 특사는 '석탄화력발전소 폐지 특별법'과 탈석탄 에너지 전환 추진 등의 내용을 담은 충남도의 '정의로운 전환'에 적극 지지 의사를 밝혔다. 충남도 제공.

같은 해 10월에는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통한 저탄소 중심 경제 성장을 골자로 한 ‘탄소중립경제 특별도’를 국내·외에 선포하고 신에너지 기술 지원과 미래 일자리 창출을 약속했다.

김 지사는 앞으로 언더2연합 지방정부와의 협력 및 실천을 강화하는 한편,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에 지방정부 기후행동이 포함될 수 있도록 주도적인 역할을 해 나아갈 방침이다.

김 지사는 “충남은 국내 최대 석탄화력발전소와 고탄소 배출 산업 비중이 높아 저탄소 산업으로의 경제 개편이 시급한 만큼, 성공적인 경제 개편과 함께 일상에서 탄소중립 실천이 자발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정책을 펼쳐 나아갈 것”이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넘어 전 세계가 함께 협력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