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후보지 39곳 중 환경부 탄소중립 선도도시 1차 선정
정부 계획보다 5년 앞당긴 2045 탄소중립 실현 목표
전국 최초 ‘탄소중립경제특별도’ 선포와 함께 정부 계획보다 5년 앞당긴 2045 탄소중립 실현 등 온실가스 최다 배출 지역이라는 오명 벗기에 나선 충남도의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
5일 환경부는 전국 탄소중립 선도도시 예비후보지 39곳 중 보령시와 당진시를 비롯해 13개 시·군·구를 1차 선도도시로 선정했다.
도는 그동안 지속적인 건의를 통해 온실가스 다배출 지역인 보령과 당진의 지역 여건에 따른 선정 당위성을 높이고, 경쟁지역과 차별화된 탄소중립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 것이 이번 성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먼저, 보령시는 ‘대한민국 탄소중립의 심장, 보령’을 주제로, 핵심사업 27개, 2030년 목표 감축량 327만 톤을 제시하며 화력발전 도시에서 신재생에너지 선도도시로 대전환하겠다는 포부를 담았다.
주요 내용은 화력발전소의 점진적 폐쇄에 따라 청정 블루수소 플랜트를 구축하고, 이곳에서 생산된 수소에너지가 활용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밸류체인을 만들어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이끈다.
화력발전소와 제철소가 위치한 당진도 ‘탄소중립을 당기는 당찬 당진’을 목표로 에너지 전환과 농축산 폐기물을 중점사업으로 제시했다.
염해지가 많은 지리적 특성을 살려 염해지 태양광 조성, 석문풍력발전단지 조성 사업 등 12개의 핵심사업과 폐플라스틱 자원화 수소생산 사업(P2E) 등 16개의 연계사업을 통해 93만 톤을 감축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오는 10월 29일 경진대회를 거쳐 최종 선정 도시를 발표할 예정으로, 2025년 기본계획 수립 후 2030년까지 선도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도 관계자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충남에서 탄소중립 선도도시가 최종 선정되면 국가적 차원에서 탄소중립 실현의지에 대한 상징적 의미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보령, 당진과 긴밀히 협력해 최종 선정까지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김태흠, 언더2연합 아태 지역 공동의장 재당선..‘탄소중립경제특별도’ 인증
- 김태흠 “금산 양수발전소, 파급효과 1조 8000억 원”
- 김동일 보령시장, 해상풍력·전용항만개발 협력을
- 충남도 ‘청정에너지’ 중심 산업 전환 본격화..“탄소중립 이끈다”
- 갯벌 도시 보령 ‘탄소중립도시 선도도시’ 결승 올랐다
- 현대제철, 동서발전 제치고 온실가스 배출 5위로 상승
- 화력발전소 대신 그린 에너지에 17조 쏟아붙는다
- 전국 전력 생산 1위 충남···‘분산에너지 특구’ 유치할까
- '예비' 탄소중립 선도도시 당진, "에너지와 산업부문부터 시작하자"
- ‘보령블루수소 플랜트’ 첫 입찰 고배, 내년 시장 재도전
- 수천 조 시장 선점, 당진·보령 수소특화단지 도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