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도부터 단계별 폐지 수순..주변 지역 보상체계 마련 시급
한국전력 '송전계통 포화'..2030년부터 협의 가능할 듯

김동일 보령시장(왼쪽)과 가세로 태안군수(오른쪽)이 정부의 석탄화력발전소 단계별 폐지 정책에 따른 대체 에너지 구축에 주력하는 가운데, 한국전력의 송전계통 협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김다소미 기자. 
김동일 보령시장(왼쪽)과 가세로 태안군수(오른쪽)가 정부 석탄화력발전소 단계별 폐지 정책에 따른 대체 에너지 구축에 주력하는 가운데, 한국전력의 송전계통 협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김다소미 기자. 

[내포=디트뉴스 김다소미·한남희 기자] 보령시와 태안군이 정부의 석탄화력발전소 단계별 폐지 정책에 따른 대체 에너지 구축에 주력하고 있는 가운데, 김동일 시장과 가세로 군수가 31일 정부와 충남도에 도움과 관심을 호소했다.

발전소 폐지 대안으로 대규모 태양광 발전단지와 해상풍력 단지를 개발하고 있지만, 한국전력과 ‘송전계통’ 관련 협의가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두 단체장은 이날 오전 보령 머드테마파크에서 열린 충남시장·군수협의회에서 이 같은 상황을 공유하며 도내 시·군의 공동 대응을 촉구했다.

‘송전계통 확보’ 시급..“송전탑 주변 지역 보상체계 확립해야”

충남 서해안은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대부분이 밀집한 곳이다. 충남에서 생산되는 전력 대부분이 수도권으로 보내지고 전국 발전소 온실가스 53.6%가 충남에서 배출된다.

그만큼 충남 보령과 태안등 서해안 지역의 희생이 크지만, 폐지에 따른 지역 경제 손실과 보상안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은 지지부진한 상황.

두 도시는 대체 에너지로 ‘친환경 공공주도 해상풍력 단지’ 개발과 ‘대규모 태양광 발전단지’ 구축을 추진 중이다.

해상풍력 모습. 태안군 제공. 자료사진. 
해상풍력 모습. 태안군 제공. 자료사진. 

다만 대규모 에너지 산업이 자리 잡기 위해서는 핵심 인프라인 송전계통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지만, 한국전력이 송전계통 포화를 이유로 2030년 이후 신규 발전사업 허가 계통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김 시장은 “협의가 불가해 신규 신재생에너지인 해상풍력과 태양광 개발 사업 등을 지연하거나 보류해야 하는 상황이다. 기존 송전탑 경유지가 충남 서해안권에 집중돼 있는데 주변 지역민에 대한 관련 보상도 미흡”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호남과 제주는 송전계통 포화로 인해 발전된 전력이 원활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사례로 비춰볼 때 우리 지역의 대규모 에너지 산업이 자리 잡기 위해선 핵심 인프라인 송전계통의 확보가 우선”이라고 말했다.

가 군수도 “호남은 도 차원의 지원이 있지만, 충남은 그렇지 않다. 태안과 보령 모두 상급기관의 절실한 지원이 요구된다. 모든 시·군이 해상풍력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인 지지를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