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 반도체·디스플레이..홍성, 탄소중립·친환경 미래산업 육성
국가산단 탈락 예산군에 ‘농생명 그린바이오 클러스터’ 조성키로

김태흠 충남지사(가운데)와 이용록 홍성군수(오른쪽), 신동헌 천안시부시장이 15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국가산단 지정 발표와 관련해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황재돈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운데)와 이용록 홍성군수(오른쪽), 신동헌 천안시부시장이 15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국가산단 지정 발표와 관련해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황재돈 기자. 

[황재돈 기자] 충남 천안시와 홍성군이 첨단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최종 선정됐다. 다만, 산단 용지 대부분이 농지로 이루어진 예산군은 ‘농지잠식 우려’ 이유로 선정에서 제외됐다. 도는 천안과 홍성 국가산단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국가산단 지정에서 탈락한 예산군에 대체 산업 육성을 약속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15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이용록 홍성군수, 신동헌 천안시부시장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는 이날 대통령 주재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전국 15곳의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를 발표했다”며 “이중 충남은 천안시와 홍성군 2곳이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천안 국가산단 127만평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기업 유치


천안 미래모빌리티 국가산단 위치도 및 토지이용계획도. 천안시 제공.
천안 미래모빌리티 국가산단 위치도 및 토지이용계획도. 천안시 제공.

‘천안 미래모빌리티 국가산업단지’는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가 전남 함평으로 이전한 부지 약 417만㎡(126만 평)에 총사업비 1조6000억 원을 투입해 스마트 팩토리, 반도체와 스마트모빌리티 등 국가전략산업을 주축으로 하는 첨단산업단지로 조성될 계획이다.

126만평 전체를 ‘산단으로 조성하느냐’, ‘배후단지를 포함하느냐’는 논쟁은 전체를 산단으로 조성하는 방향으로 결정됐다. 

이에 따라 천안시는 국가산단 배후 부지에 ‘뉴타운’을 조성하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국가산단과 연계한 배후 뉴타운 개발을 통해 R&D와 교육 상업, 주거 등 지원기능을 갖춘 클러스터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내용이다. 

오는 2027년으로 예정된 종축장 이전 시기도 최대한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김 지사는 “가급적 종축장을 조기에 이전하고, 단지 조성을 빨리 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있다”며 “천안시와 협의를 통해 시민들이 염원하는 방향으로 개발되도록 최선을 다해 돕겠다”고 밝혔다. 

홍성 국가산단, 탄소중립·친환경산업 거점 육성


홍성 내포신도시 미래 신산업 국가산단 사업대상지. 홍성군 제공.

‘홍성 내포신도시 미래 신산업 국가산단’은 탄소중립과 친환경 관련 미래 신사업 혁신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중점 육성 산업은 미래자동차, 2차 전지, 인공지능(AI), 수소산업을 제시했다.

도는 사업시행자 선정 등 절차를 조속히 마무리해 기획재정부 예비 타당성 조사 등 행정 절차 이행에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착공 목표는 2026년이다. 

도는 홍성 국가산단이 조성되면, 내포신도시 인구가 크게 늘어 자족기능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용록 홍성군수는 “민선8기 취임 후 ‘국가산단 지정계획’을 1호로 결재했다”며 “국가산단 조성을 통해 내포 혁신도시를 완성하고, 홍성읍 원도심을 활성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026년 착공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국가산단 탈락 예산군 ‘농생명 그린바이오 클러스터’ 조성


도는 이번 국가산단 선정에서 탈락한 예산군에는 ‘농생명 그린바이오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클러스터에는 그린바이오 벤처캠퍼스, 식품연구 기반 등을 유치하고, 생산과 가공, 서비스, 연구가 융합된 새로운 농업 선도모델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도와 예산군은 올해 사업을 착수해 청년 농업인 2만4000명 고용유발과 10조5000억 원의 생산유발 효과를 창출한다는 복안이다. 

김 지사는 “예산은 친환경 자율차 특화 국가산단으로 신청했지만, 과다한 농지잠식 우려 등으로 미 선정 돼 아쉽다”며 “대안으로 농림축산식품부와 협의해 50만평 규모의 6차 산업 기업과 연계한 농생명 그린바이오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끝으로 "충남은 전국에서 2번째로 많은 국가산단 2곳을 확정지었지만, 내용적인 측면에선 충남도가 가장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며 "앞으로 충남 경제와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