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확대간부회의서 “끝까지 최선”...“중앙정부 기대지 말라” 자강론도
[김재중 기자] 이장우 대전시장이 우주산업클러스터 ‘대전 패싱’ 논란과 관련 “경제수석, 과기부 장관과 대전을 포함한 3축(전남, 경남, 대전)으로 가는 방향으로 깊은 대화를 나눴다”며 ‘대전 배제’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 시장은 2일 오전 대전시 확대간부회의에서 “우주산업 관련 클러스터 선정을 보니까 절차를 밟아 공모하는 과정을 통해서 간 게 아니고, 이미 오래전부터 진행했던 것 같다”고 언급했다. 현재 진행 중인 입지선정 공모가 형식적인 절차일 뿐, 내부적으로 이미 결정된 것 같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실제로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지난달 29일 국회 상임위 전체회의에서 우주산업클러스터 입지와 관련해, 발사체특화지구는 전남, 위성특화지구는 경남으로 가닥이 잡혔다는 점을 인정한 바 있다. 지난달 7일 입지 공모를 결정한 이후 3번의 검토회의만에 이런 결론이 나오자 ‘졸속결정’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위성특화지구 지정을 준비했던 대전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대전 패싱 아니냐’는 반감도 표출되고 있으며, 이장우 대전시장의 정치력에 대한 의구심마저 제기되고 있다.
이를 의식한 듯 이 시장은 확대간부회의에서 “경제수석, 과기부 장관과 함께 대전이 우주산업과 관련해 최적의 강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3축(전남, 경남, 대전)으로 성장시키는 게 바람직하다는 논의를 했다”며 “경제수석도 그런 방향으로 가는 게 좋겠다면서 추후 논의과정에서 고민하겠다고 답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이 시장은 과학산업국장에게 “과기부와 깊이 상의하고, (입지선정) 최종 마지막까지 경제수석 약속처럼 3축으로 갈 수 있도록 해달라”고 지시했다.
이장우 시장은 이와 함께 자강론도 폈다. 그는 “중앙정부의 정책에 기대, 도시의 흥망성쇠를 좌우해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공직자 중심으로 우리가 도시를 일궈간다, 독자적인 프로그램을 가지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좌고우면하지 말고 일관되게 가야한다”고 주장했다.
이 시장은 “방사청 대전 이전이 가시화된 시점에서 방산기업 육성, 우주산업, 나도반도체, 특히 대전의 최강점인 바이오헬스, 이런 장점을 스스로 살려야 한다”며 “무한경쟁에서 우리만의 강점을 최대한 살려 도시의 먹거리를 키우는 게 우리의 일”이라고 공직자들을 독려했다.
한편 이 시장은 이날 회의에서 담당 실·국장들에게 산업용지 확충과 기업유치, 장대교차로 입체화 추진, 각종 인·허가 심의기간 단축, 재개발 정비사업 신속 지원 등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