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화력발전 폐지 대응 방안 보고회 개최
‘정의로운 전환 기금’ 국가에 요구, 수소 관련 TF팀 구성

민선8기 충남도가 석탄화력발전 폐쇄 지역 고용위기에 적극적인 대응을 예고했다.  
민선8기 충남도가 석탄화력발전 폐쇄 지역 고용위기에 적극적인 대응을 예고했다.  

[황재돈 기자] 민선8기 충남도가 석탄화력발전 폐쇄 지역 고용 위기에 적극적인 대응을 예고했다. 아울러 대체 발전소 도내 건설과 수소 에너지 전환 가속화를 위해 행정력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충남도지사직 인수위원회는 24일 도청 별관 회의실에서 ‘석탄화력발전 폐지 대응 방안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는 전문가 발표와 질의·토의 순으로 진행됐다.

김태흠 충남지사 당선인은 이 자리에서 화력발전 폐쇄 지역에 친환경 발전소를 건설해 일자리를 지키고, 지역경제 위축을 막아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김 당선인은 “발전소를 폐쇄하려면 대안부터 우선 마련해야 한다. 발전소를 타 지역에 대체 건설하면 근무 중인 노동자들이 어디서 일자리를 찾을 수 있겠느냐”며 “대체 발전소 도내 건설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와 함께 ‘정의로운 전환 기금’ 분담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내놨다.

앞서 도는 보령화력 1·2호기 폐쇄를 앞두고 2025년까지 100억 원 기금을 조성해 고용승계와 재취업 훈련, 취업알선 등 고용안정과 일자리 전환 사업에 사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현재 출연비율은 도 30%, 4개 시·군과 발전3사 10%씩이다.

김 당선인은 “발전은 국가산업인 만큼 현재 추진 중인 정의로운 전환 기금을 충남에서 낼 것이 아니라 국가에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도내 석탄화력발전소 29기 등에서 생산되는 발전량 48%를 수도권 등 외부 지역으로 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수소 에너지 관련 TF팀 구성, 중앙정부 사업 확보

민선8기 충남도가 석타화력발전 폐쇄 지역 고용위기 대응에 나선다. 도지사직 인수위 제공.
민선8기 충남도가 석타화력발전 폐쇄 지역 고용위기 대응에 나선다. 도지사직 인수위 제공.

김 당선인은 석탄화력발전 폐쇄에 따른 에너지 전환 대응도 주문했다. “탈석탄 대안은 결국 수소가 될 것”이라며 “수소 관련 TF팀을 조속히 구성해 탄소중립, 수소전환과 연계한 중앙정부 사업을 확보해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전력수급기본계획 수정 작업을 할 때 도민 피해를 설명하고, 도내 대체 발전소 건설과 수소전환 등을 정리해 중앙정부에 전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도는 탄소중립을 구현하기 위해 지난 2020년 12월 보령화력 1·2호기를 조기 폐쇄하고, 2025년까지 보령화력 5·6호기와 태안화력 1·2호기, 2045년까지 도내 모든 화력발전을 폐쇄한다는 계획이다. 도내 화력발전소는 전국 59기 중 절반에 해당하는 29기가 위치해 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