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 지사 "에너지 전환·산업구조 재편, 국가가 책임져야"
대통령실, 국무총리실 등에 관련 요청서 발송 계획
[황재돈 기자] 충남도가 에너지 전환에 따라 마련한 '정의로운 전환 기금'을 정부가 책임질 수 있도록 관련법 제정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21일 도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실국원장회의에서 “에너지 전환과 산업구조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국가가 책임져야 할 부분을 도 차원에서 추진하는 것은 비효율 적”이라며 “정의로운 전환 기금은 도에서 만드는 것보다 국가에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일단 국가에서 정의로운 전환 기금을 마련하고, 충남도가 할 수 있는 부분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며 “지금까지 과정은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대통령실과 국무총리실, 정부부처, 국회의원 300명에게 국가가 정의로운 전환 기금을 조성할 수 있도록 ‘법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는 내용의 요청서를 보낼 수 있도록 준비해 달라”고도 주문했다.
앞서 도는 보령화력 1·2호기 폐쇄를 앞두고 2025년까지 100억 원 기금을 조성해 고용승계와 재취업 훈련, 취업알선 등 고용안정과 일자리 전환 사업에 사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출연비율은 도 30%, 4개 시·군(태안·당진·보령·서천)과 발전3사 10%씩.
도내 화력발전소는 전국 59기 중 절반에 해당하는 29기가 위치한 상황. 여기에서 생산되는 발전량 48%를 수도권 등 외부로 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김 지사는 이런 이유로 도지사 인수위 시절부터 '정의로운 전환 기금의 국가 책임’을 주장해왔다.
김 지사는 당시 “발전은 국가산업인 만큼 현재 추진 중인 정의로운 전환 기금을 충남에서 낼 것이 아니라 국가에 요구해야 한다”며 “아울러 전력수급기본계획 수정 작업 시 도민 피해를 설명하고, 도내 대체 발전소 건설과 수소전환등을 정리해 중앙정부에 전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도는 도는 탄소중립을 구현하기 위해 지난 2020년 12월 보령화력 1·2호기를 조기 폐쇄하고, 2025년까지 보령화력 5·6호기와 태안화력 1·2호기, 2045년까지 도내 모든 화력발전을 폐쇄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 충남도-민노총, 정의로운 산업전환위 운영 ‘공방’
- 화력발전 폐쇄 앞둔 충남, 일자리·경제 '직격탄' 우려
- 김태흠 “충남 화력발전 폐쇄, 대안 마련” 주문
- ‘화력발전 집중’ 충남, 세계 탄소 중립 선도한다
- "정의로운 전환" 충남 화력발전소 '피해 보상론' 솔솔
- 충남도 ‘정의로운 전환 조례’ 시민사회 반응 엇갈려
- 충남도 ‘화력발전 특별법 제정’ 어떤 내용 담기나
- “충남 화력발전 피해 보상, 국가차원 지원 절실”
- 석탄화력발전 폐지지역 4개 시·도, 특별법 제정 촉구
- 석탄화력 폐지 '직격탄'..충남도 "특별법 제정" 촉구
- 화력발전 집중 충남, 전기요금 할인 기대감↑
- 김태흠, 한덕수 총리에 “충남 화력발전 폐쇄지역 지원을”
- 충남 화력발전 폐지지역 “대체산업 필요”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