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후보, 대전·세종·충남·북에서 14만 7612표 더 얻어
대전 5개 구, 충남 13개 시·군에서 윤 후보 압승
이 후보, 30·40대 비중 높은 세종시에서만 승리
[이희택·안성원·한지혜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각각 ‘사위와 아들’ 타이틀로 공을 들인 충청권 민심.
중원 혈투는 결국 초박빙 대선의 또 다른 변수가 됐고, ‘충청권 민심=선거 승리’란 바로미터 공식은 이번에도 통했다.
윤 후보는 대전·충남·북 3곳에서 승기를 잡고, 세종시에서도 지지율을 끌어 올리며 승리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1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집계 결과를 보면, 윤 후보는 대전(2만 9110표)과 충남(8만 292표)에서 이 후보와 격차를 벌렸고, 여기에 충북(5만 6068표)을 더하고 이 후보 우세지역인 세종(1만 7858표)을 빼면 합계 14만 7612표를 더 확보했다.
대전시 5개 구 민심 모두 '윤 후보'에게
대전시민들은 5개 구 모두에서 윤석열 후보 손을 들어줬다. 윤 후보는 중구에서 51.66% 득표율로 가장 높은 지지세를 확인했고, 이 후보는 44.49%에 그쳤다.
윤 후보는 여세를 몰아 대전시 전체 득표율 49.55%(46만 4060표)로 이 후보의 46.44%(43만 4950표)에 3.11%p 앞섰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2.71%)와 국가혁명당 허경영 후보(0.91%), 진보당 김재연 후보(0.10%)도 전국 평균 득표율보다 높은 지지를 이끌어냈다.
대전시 투표율은 76.7%로 전국 10위권에 올랐다. 전체 선거인 123만 3177명 중 94만 5416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30·40대 주류 세종시만 '이재명 후보' 우세
세종시는 대전·충남 등 충청권 투표 경향과 다소 다른 양상을 보였다. 민주당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강한 30·40대가 전체 선거인의 절반에 가까운 특성을 반영했다.
투표율 역시 최종 80.3%로 전남(81.1%)과 전북(80.6%), 광주(81.5%)에 이어 전국 17개 시·도 중 4번째로 높았다. 전체 선거인 28만 8895명 중 무효 투표수와 기권수를 제외한 23만 1832명이 선거에 참여했다.
실제 30·40대 선거인 비중은 46.8%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고, 아무래도 표심은 더불어민주당에게 좀더 기울었다.
이재명 후보는 51.91%로 1위를 차지했고, 윤석열 후보(44.14%)와 심상정 후보(2.94%), 허경영 후보(0.69%), 진보당 김재연 후보(0.07%) 등이 뒤를 이었다.
전국 민심 바로미터 '충남'... 윤석열 후보 압승
충남은 이번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전국 판세를 축약한 ‘민심 바로미터’ 역할을 재확인했다. 전국 표심과 가장 비슷하게 두 후보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표율은 전체 선거인 179만 6474명 중 132만 5555명 참여로 73.8%를 기록했는데, 이는 제주도(72.6%) 다음으로 낮은 수치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전체 선거인수 179만 6474명 가운데 51.08%(67만283표)를 얻어 44.96%(58만 9991표)에 그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에 크게 앞섰다. 세종시와 정반대 양상을 보인 셈이다.
지역별로는 15개 중 14개 시·군에서 윤 후보가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고, 보수 성향이 강한 군지역으로 갈수록 그 차이가 선명했다.
이밖에 심상정 후보(2.42%)와 허경영 후보(1.07%), 김재연 후보(0.12%) 모두 전국 평균 득표율보다는 높은 지지세를 확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