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정부, 추가 지원 유도 ‘숨은 뜻’…“백신, 생활안정기금 선제 지원”

8일 군정질문에서 코로나19 재난지원금 지급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박정현 부여군수.

박정현 부여군수가 8일 코로나19 재안지원금과 관련, 어려운 재정여건 속에서도 자체지원하겠다고 엄포를 놓았던 속뜻을 털어놓아 눈길을 끌었다. 소극적이던 충남도와 정부를 움직이려는 의도였다는 것. (본보 9월 8일자 폐점만 60곳…부여군, 자체 ‘재난지원금’ 마련 보도)

박 군수는 8일 열린 제251회 부여군의회 제2차 정례회에서 진행된 군정질문에서 ‘코로나19 재난지원금 지급에 대한 계획’에 대한 박순화 의원의 질의에 답하는 과정에서 이같이 밝혔다.  

먼저 박 군수는 “올 한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막심했다. 소비는 얼어붙고 지역상권은 활력을 잃어갔다”며 “정부와 충남도의 생활안정자금 지급에 맞춰 군도 전 군민을 대상으로 긴급재난지원금 190억 원, 소상공인·실직자 등 생활안정자금 51억 원 등 총 456억 원을 투입했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그러면서 “하지만 금방 사그러들 줄 알았던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제2차 재난지원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됐다"며 "저도 지난 9월 군 단독으로라도 재난지원금 추가지급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고 밝혔다.

특히 선제적으로 재난지원금 추가 지급을 공식적으로 언급한 이유에 대해 “부여군 농민수당이 충남형 농업인 수당으로 확산된 것처럼, 지자체가 추가지원의 당위성을 설파하면 ‘충남도와 정부가 빠르게 대응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고 강조했다.

박 군수는 또 “다만 코로나 상황이 현재보다 더 악화되고, 백신개발이 늦어져 경기침체가 장기화 될 경우, 중앙정부나 충남도에서 재난지원금 지급에 적극적으로 움직이지 않을 경우 등 3가지 상황이 전제 조건이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얼마 지나지 않아 정부는 2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공식화했고, 7조 8000억 규모의 제4차 추가경정 예산안을 통과시키며 소상공인, 중소기업, 저소득층 등에 대한 지원을 결정했다. 

또 내년도 558조 원 규모의 정부 예산안에는 3차 재난지원금 3조 원과 백신구입 예산 9000억이 반영됐다고 박 군수는 설명했다.

이어 박 군수는 “코로나 장기화에 대비해 재난지원금 지급조례안을 군의회와 협의하고 자체사업 등을 절감해 200억 원의 기금을 마련했다”며 “아직 충남도와 15개 시·군 지자체 간 공감대 형성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백신접종 지원과 군민의 생활안정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 우선적으로 지급할 계획”이라며 “정부와 충남도의 움직임을 주시해 군민의 입장에서 함께 극복하겠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