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포럼 개최..이장우·김태흠 통합 비전 발표
정치권 협력, 얽힌 지자체 이해관계는 ‘난제’

대전시와 충남도는 25일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충남 서산·태안)과 문화일보 주최로 국회서 열린 ‘대전충남 통합과 대한민국의 길’ 포럼에 참석해 행정통합 필요성을 강조했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25일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충남 서산·태안)과 문화일보 주최로 국회서 열린 ‘대전충남 통합과 대한민국의 길’ 포럼에 참석해 행정통합 필요성을 강조했다. 

대전·충남 행정통합이 논의 단계에서부터 외면받는 처지에 놓였다. 

지역 의제를 논의하는 자리는 지역언론 대신 중앙언론이 차지했고, 필수불가결한 정치권 초당적 협력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지자체 간 첨예한 이해관계, 지역민 공감대 형성도 부족해 그들만의 리그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25일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충남 서산·태안)과 문화일보 주최로 국회서 열린 ‘대전충남 통합과 대한민국의 길’ 포럼에 참석해 행정통합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비전공유 발표에서 “행정통합은 단순 행정구역 개편이 아닌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대한민국 미래 100년을 준비하는 새로운 도전”이라며 의미를 부여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뿌리가 같은 대전·충남이 먼저 통합해 국가 대개조의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고 의지를 다졌다. 

이들은 양 지자체가 통합할 경우 인구 360만명, 지역내총생산(GRDP) 190조원으로 수도권에 대응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장밋빛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바람과 달리 정치권 협조는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날 포럼 참석자만 보더라도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이철규 의원, 우동기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장 등이 참석했지만, 야당 의원 참석은 전무했다. 

특별법이 마련돼야 행정통합이 가능하지만, 탄핵정국 속 야당의 협조는 물론 지역 국회의원 설득도 어려운게 현실. 

특히 지역 정치권은 특정인을 위한 행정통합, 정치적 계산이 깔렸다는 의구심을 품고 있다. 

이장우 대전시장이 지난해 12월 대전·충남 통합지자체 출범 추진 선언식에서 “충청권 정치인 중 대권을 향해 가장 접근한 사람은 김태흠 지사다. 충청대망론에 대한 도전은 계속돼야 한다”고 말한 것이 배경. 

때문에 김 지사를 충청대망론 주자로 키우고, 이 시장 자신은 통합시장을 목표로 행정통합을 추진한다는 뒷말이 무성하다. 

지자체간 얽힌 이해관계도 통합을 어렵게 만드는 배경이다. 

단적으로 천안·아산 등 충남 주요도시가 밀집한 북부지역은 2500만 수도권을 배후로 두고 있다. 이들 지역으로선 충남도가 추진 중인 ‘베이밸리(Bay valley)’가 오히려 현실적으로 와닿는다. 

‘베이밸리’는 김 지사 1호 공약으로 충남 북부와 경기 남부에 걸친 자동차 산업과 디스플레이, 수소 산업 등을 묶어 미국 실리콘밸리처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아산만 일대는 인구 428만명, 기업 32만개, 대학 37개가 밀집했고, 지역내총생산도 대전·충남을 합친것보다 높은 250조원에 달한다. 

지역 주요 언론사도 현장 취재를 대신해 보도자료로 대체하는 등 관심도는 낮았다.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선 통합특별시 명칭을 ‘대충시’로 부르며 부정적 이미지를 가중시키고 있다. 

지방소멸시대 지역 경쟁력을 높이고, 대전·충남 통합으로 국가 대개조 견인을 목표로 출발한 대전·충남 행정통합. 수많은 난제에 해답을 찾아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