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우 시장·야당 의원, 통합 논의 공식 만남 無
대전시의회, 정치권 협력 필요성 당부

대전·충남 행정통합 논의가 대전지역 정치권을 배제한 채 진행되고 있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지역 야권 간 통합을 논의하는 공식 만남이 한차례도 추진되지 않은데다, 행정통합 공감대 조차 형성하지 못하면서 난항이 예상된다. 자료사진.
대전·충남 행정통합 논의가 대전지역 정치권을 배제한 채 진행되고 있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지역 야권 간 통합을 논의하는 공식 만남이 한차례도 추진되지 않은데다, 행정통합 공감대 조차 형성하지 못하면서 난항이 예상된다. 자료사진.

대전·충남 행정통합 논의가 대전지역 정치권을 배제한 채 진행되고 있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지역 야권 간 통합을 논의하는 공식 만남이 한차례도 추진되지 않은데다, 행정통합 공감대 조차 형성하지 못하면서 난항이 예상된다. 

박정현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대덕구 국회의원)은 20일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대전·충남 통합을 두고 현재까지 이 시장과 지역 의원간 논의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이 시장이 (집행부를 통해) 통합 문제를 설명하게 하겠다고 했지만, 의원에게 개별적으로 설명할 문제가 아니"라고 말했다. 

이어 “두 단체장이 지난해 통합지자체 출범 추진 선포식을 진행한 것 역시 언론을 통해 알았다”며 “행정통합은 대전시장과 충남지사 합의만으로 진행할 수 없는 문제다. 법을 제정하고 지역민에게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지만, 선포부터 하고 절차를 밟는 경우가 어디 있느냐”고 꼬집었다.

그는 대전·충남 행정통합에 비판적 시각을 드러냈다. 

박 의원은 “충청권 4개 시·도는 수도권에 대항하고 자족적인 권역을 만드는 메가시티 형태로 가야 한다”며 “일부 지자체만 통합을 추진할 경우 국가 균형발전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한 메가시티에 차질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정명국 시의원 "국회와 협력 등 행정통합 과제 산적"

정명국 대전시의원. 자료사진. 
정명국 대전시의원. 자료사진. 

이날 대전시의회에서는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위한 정치권과 협력 필요성에 관한 제언이 나왔다. 

정명국 시의원(국민의힘·동구3)은 제284회 임시회 2차 본회의 5분 발언에서 "이장우 시장님과 김태흠 지사님, 대전과 충남 공직자 여러분께 당부한다"며 "현재까지 행정통합 논의가 원만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고민할 과제가 산적해 있고 각각 과제들이 만만치 않은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원활한 행정통합 추진을 위해 사무배분 등 포함한 광역·기초간 역할 재설정, 통합 지자체 위상과 권한 확보를 위한 대정부 협의, 특별법 제정을 위한 국회와 협력 등 전략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가 많다”고 설명했다. 

정 의원은 "지역 정치권에도 당부드린다. 행정통합 논의가 정쟁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정치적 이해를 떠나 대전과 충남,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 협력해 달라”는 당부도 덧붙였다. 

두 지자체 행정통합을 위해 특별법 제정, 국회 설득 과정이 필요하다. 때문에 지역 정치권을 패싱할 수 만은 없는 노릇이다. 김태흠 충남지사가 최근 여의도에서 민주당 의원들과 행정통합 당위성을 설명하는 간담회를 연 것 역시 이를 염두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이 시장이 지역 야당 의원을 언제 만날지는 미지수다.  

정치권 관계자는 “지역 정치권과 논의가 진행되지 않는 이상 행정통합은 어렵고, 이 시장이 정치권에 무조건적인 협력을 요청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대화가 원활히 이어지지 않을 경우라도 만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