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선·포승평택선·장항선 구간 타원형으로 '순환'
'베이밸리 메가시티' 핵심 인프라 조성 '마중물'
충남 내륙과 경기 남부를 잇는 ‘아산만 순환열차’가 다음달 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다. 이 노선은 김태흠 지사의 취임 결제1호 사업이었던 ‘베이밸리 메가시티’와도 밀접히 연관돼 있다. 충남 아산만 권역은 수도권 교통망 구축으로 새로운 경제수도 조성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번 순환열차는 당초 2035년 개통이 예상됐지만, 도가 노선을 신설하지 않고 기존 노선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정부에 역제안하면서 별도의 예산 투입 없이 조기 완성하는 성과를 거뒀다.
아산만권 도시 간 교통 편의성이 크게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면서 충남-경기의 ‘광역경제생활권’ 형성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 지사는 28일 오전 도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실국원장회의에서 이번 순환열차 조기 완성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며 동시에 개통하는 서해선 복선전철과의 연계에 큰 기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아산만 순환열차’ 신안산선 직결 지연 ‘보완’
서해안 교통망 혁신..베이밸리 메가시티 ‘마중물’
도시 성장에 교통망은 최우선의 인프라로 이번 아산만 순환열차는 베이밸리 내 핵심 교통망이라는 점에서 추후 충남 미래 먹거리와도 직결돼 있다.
순환열차는 홍성-당진-평택-천안-예산을 환승 없이 순환한다. 144.8㎞ 구간으로, 다음달 개통하는 서해선(홍성~화성), 포승평택선(평택~안중), 장항선(신창~홍성) 구간과 타원형으로 연결돼 순환하는 방식이다.
특히 같은 날 개통하는 90㎞ 구간의 서해선이 경기 신안산선의 개통 지연으로 수도권 직결이 연기되고 운행 횟수가 줄어들었지만, 순환열차가 이를 보완할 것으로 보인다.
순환열차는 상하행 8회 운행이 예정됐다. 충남 내륙에서 수도권으로 가는 노선이 하나 더 뚫리게 되는 셈이다.
이 같은 서해안 교통망 혁신은 베이밸리 메가시티 건설에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보인다.
김 지사는 “추가적으로 원시~서화성역 구간이라도 조기 부분 개통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와 적극 협의해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충남도와 경기도는 행정구역을 넘어 아산만 권역 중심으로 첨단산업 생태계 조성 등 광역경제권을 구축하는 베이밸리 메가시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관련기사
- 서해선 합덕역 개통 앞두고 당진 지역발전 기대감 쑤욱
- 충남, 수도권 잇는 철도·고속道 속속 개통···서울 진입 단축은 아직
- 당진 합덕역에서 기차 타고 수도권까지
- ‘서해선 복선전철’ 개통 코앞이지만, 서울 진입은 먼 얘기
- ‘서해선 복선전철’ 홍성역 vs 예산역?···불필요한 갈등 언제까지
- 김태흠 지사, 중앙부처 잇따라 방문 ‘서해선KTX’ 등 국비 지원 건의
- ‘서해·장항·평택선’ 동시 개통···서해안 철도시대 '팡파르'
- 개통 서해선 합덕역 첫 손님은?
- 충남 ‘베이밸리’ 국가 대동맥 연결 사업 본격 착수
- ‘서해선KTX’ 예타 통과···2031년 홍성-용산 40분 주파
- 충남도 '베이밸리+행정통합' 두 마리 토끼 잡을까